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 협상이 최종 합의 직전에 중국 정부의 반대로 중단됐다.
로이터통신은 4일(현지시간)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미국 기반의 새 법인에 자산을 넘기는 방안이 보류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거래 중단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반발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후 이 문제에 대해 미국과 협상을 하기 전까지 틱톡에 대한 거래를 승인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앞서 틱톡은 이른바 '틱톡 금지법' 때문에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처한 상태다. 이 법은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법이 정한 매각 시한은 1월 19일이만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틱톡과 미국 투자자들은 사실상 협상을 마무리했다.
협상안은 미국 투자자가 과반 지분을 갖고, 바이트댄스는 20% 미만으로 제한하는 구조다. 미국 정부도 이같은 협상 결과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중국이 관세 문제를 이유로 개입하면서 매각 작업이 꼬이게 됐다.
바이트댄스는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와 여전히 협의 중이지만 아직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고 핵심 쟁점에서 이견이 있다”며 “중국 법률에 따라 모든 합의는 심사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주재 중국 대사관도 성명에서 “중국은 기업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존중한다”면서 “시장경제의 기본 원칙을 위반하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승인 거부 방침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증국과 협상을 계속하기를 바란다”며 “틱톡 금지법 시행 유예기간을 추가로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틱톡 금지법 시행 유예기간은 이번 주말까지이지만 거래가 중단됨에 따라 추가로 시간을 주겠다는 취지다. 추가 연장 기간 만료 시점은 6월 중순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