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5% 관세 부과로 직격탄을 맞은 국내 자동차 산업에 3조 원 규모의 긴급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베트남을 비롯해 미국으로부터 30~40% 안팎의 상호관세를 적용받는 지역에 공장을 둔 업종에도 대출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관련 기사 12면 본지 4월 4일자 9면 참조
6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주 산업경쟁력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자동차 산업에 3조 원 규모의 금융 지원 프로그램 제공을 논의한다. 금융 당국은 또 7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 금융지주 회장과 국책금융기관장을 소집해 관세 충격이 큰 기업들에 대한 자금 지원을 강조할 예정이다. 금융권의 자동차 산업 여신 규모는 50조 원가량으로 추산된다.
금융 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에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며 “대미 수출에 46%의 상호관세를 물게 된 베트남에 스마트폰과 반도체 협력 업체들이 많고 다른 지역도 일반 수출 업체들의 피해가 예상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자동차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업종별 지원 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철강과 알루미늄을 비롯해 가전과 반도체·스마트폰 등도 검토 대상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금융 당국은 은행이 수출 중소기업 대출에 적용하는 위험가중치를 낮춰 대출을 확대하는 방안도 들여다보고 있다. 금융 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정책금융기관과 민간 은행, 양쪽에서 자금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리스크 확대를 이유로 대출을 줄이지 않도록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