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 기반 4조 1000억 원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2020년 알테오젠이 미국머크(MSD)와 체결한 4조 7000억 원대 기술이전 계약에 이어 국내 바이오 업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양사는 짧은간섭 RNA(siR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항체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활용해 복수의 새로운 표적 기반 치료제를 개발한다. 이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소하는 것이 목적이다.
에이비엘바이오의 그랩바디-B는 BBB를 통과하기 어려운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인슐린유사성장인자1수용체(IGF1R)를 활용해 약물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고 뇌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BBB는 유해한 물질이 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지만 약물 전달도 막아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장애물이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계약금 739억 원(3850만 파운드)를 포함해 최대 1480억 원(7710만 파운드)의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기술료)을 수령한다. 또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허가 및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최대 3조 9623억 원(20억 6300만 파운드)와 함께 순매출에 따른 단계별 로열티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그랩바디-B 관련 기술 및 노하우 등의 이전을, GSK는 전임상 및 임상 개발, 제조, 상업화를 담당한다.
크리스토퍼 오스틴 GSK 연구기술 부문 수석부사장(SVP)은 “고령화로 인해 퇴행성 뇌질환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수요도 그만큼 커지고 있지만 유망한 신약도 BBB 통과 셔틀 없이 뇌에 효과적으로 도달하지 못한다”며 “이번 계약은 BBB를 극복하고 이러한 치명적인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을 모색하려는 우리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 플랫폼은 GSK의 차세대 파이프라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강조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이번 계약은 그랩바디-B의 사업화를 통해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에이비엘바이오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그랩바디-B의 적용 가능 모달리티를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을 비롯한 퇴행성뇌질환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번 파트너십이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고 전 세계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