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012330)가 인도연구소를 차량용 소프트웨어(SW) 연구개발에 특화된 전략 거점으로 확대 운영한다.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고부가 차량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인도 내 분산돼 있던 연구 거점을 통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목표다.
현대모비스는 인도 텔랑가나주 하이데라바드에 위치한 제1·2 인도연구소를 통합 개소했다고 7일 밝혔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2007년 첫 번째 인도연구소를 설립하고 2020년 제2 연구소를 건설해 분리 운영해왔다. 통합된 연구 거점의 연면적은 약 2만 4000㎡로 10층 규모의 건물에 연구 공간과 데이터센터·시험실·교육실 등이 갖춰졌다.
현대모비스는 분산돼 있던 인도연구소의 개발 인력을 통합해 제품의 원가 경쟁력과 성능·품질을 높이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허브로 육성한다는 목표다. 신규 제품 개발 단계부터 인도연구소의 참여를 늘리는 것은 물론 현지 차종의 소프트웨어는 자체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공지능(AI)을 적극 도입해 생산성 효율화도 추진하는 등 인도연구소의 소프트웨어 개발 범위를 확장한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통합 연구소 인근에 위치한 차량용 소프트웨어 업체와 협업을 실시하고 글로벌 우수 인재들도 대거 채용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가 소프트웨어 통합 연구 거점을 구축한 배경에는 급성장하는 인도차 시장이 자리하고 있다.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인도의 연간 신차 판매량은 세계 3위 규모인 520만 대 수준으로 2028년 약 620만 대 규모로 성장이 기대된다. 특히 과거 소형차 중심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같은 자율주행 2단계 신기능 적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종근 현대모비스 인도연구소장(상무)은 “인도는 개발자 풀이 넓어 새로운 연구개발 시도가 많이 이뤄지는 곳”이라며 “20여 년에 가까운 양산차종 개발 경험을 살려 소프트웨어 고도화를 촉진하고 제품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