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맛과 감성을 현대적 스타일로 재해석하는 복고 트렌드가 지속되며 편의점에서 쑥, 밤, 팥 등으로 만든 ‘할매니얼’ 디저트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할매니얼은 할매와 밀레니얼의 합성어로 기존 조부모 세대의 문화를 새로운 감각으로 변형해 이를 즐기려는 젊은 소비층 또는 그런 소비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다.
CU는 지난달 쑥, 밤, 단팥, 옥수수, 약과 등을 활용한 할매니얼 관련 상품 매출이 전년 대비 21.5% 올랐다고 7일 밝혔다. 전월(2월)과 비교하면 23.8% 증가세로 CU 디저트 전체 매출(12.8%) 오름폭 보다도 더 높았다.
특히 기존 편의점에서 할매니얼 트렌드를 이끌었던 떡이나 약과 대신 최근엔 빵, 샌드위치, 붕어빵과 같은 간식 및 디저트류에서 새로운 메뉴의 신상품들이 잇따라 출시되며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CU가 지난달 여수 디저트 맛집인 ‘여수당’과 협업해 선보인 ‘쑥 크림 샌드위치’는 출시 한 달여 만에 15만 개가 팔려 나갔다. 해당 상품은 제철을 맞은 쑥을 활용해 진한 쑥의 맛과 향을 담은 디저트 샌드위치로 지역 맛집 제품이라는 타이틀로 젊은 층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여수당 상품들은 출시 후 SNS 상에서 호평을 받으며 꾸준히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팥 샌드가 딸기 샌드보다 1만 개 이상 더 판매돼 디저트 샌드위치의 주요 소비층인 MZ세대의 할매니얼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밤맛을 활용한 ‘붕어꼬리빵 밤크림’도 인기 제품이다. 붕어꼬리빵은 지난해 CU가 꼬리파, 머리파로 붕어빵을 먹는 순서가 나뉘는 소비자 취향에서 착안해 내놓은 이색 상품이다.
붕어빵은 동절기 대표 간식으로 통하지만, 밤맛 크림을 더한 해당 상품은 지난 달에만 5000여 개가 판매되며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자체 커머스앱 포켓CU의 ‘Weekly Hot 10’ 순위에서도 지난 3주 내내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편의점의 할매니얼의 원조 상품으로 불리는 CU ‘이웃집 통통이 약과 쿠키’ 역시 지난 2023년 3월 출시 당시 5일 만에 10만 개가 완판됐으며 지금까지 해당 시리즈 상품들의 누적 판매량은 무려 1000만 개에 이른다.
이 밖에도 양갱 25.9%, 소보로빵 17.8%, 막걸리 18.6%, 식혜 23.2% 등 다른 할매니얼 제품들의 지난 3월 전월 대비 매출신장률도 일제히 두 자릿수로 신장했다.
김명수 BGF리테일 MD지원팀장은 “약과에서 시작된 할매니얼 트렌드가 올해 디저트 등 다른 상품들로도 점차 확산되며 그 인기가 지속되고 있는 추세”라며 “앞으로도 CU는 ‘디저트 맛집’이라는 명성을 이어나갈 수 있는 다채로운 상품들로 고객의 입맛 잡기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