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의 매매 물건 등록 수가 올해 2월 서울시의 일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조기 대선까지 집값 추이를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짙어진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7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이날 서울의 아파트 매매 매물은 8만 6274건으로, 올해 2월 6일(8만 6123건) 이후 약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물은 연초부터 8만 건대를 유지하다 서울시가 잠실·삼성·대치·청담 등 일부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2월 12일 9만 건을 넘어섰다.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가능해지면서 거래가 급증하자 호가를 올려 집을 매도하려는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후 9만 4700건까지 쌓였던 매물은 강남 3구와 용산구를 토허구역으로 재지정한 직후인 지난달 25일(8만 9289건) 다시 9만 건 밑으로 내려왔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8만 중반대를 기록 중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10일 전과 비교해 서초구의 매물이 9.2% 줄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어 강남구(-7.5%)·강동구(-6.6%)·용산구(-5.4%)·광진구(-3.0%)·송파구(-2.8%) 등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영향권 내 지역의 매물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자이’ 매물은 89건에서 61건으로 30% 넘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차기 정부의 대출 등 부동산 정책 윤곽이 드러날 때까지 서울 아파트 매도 및 매수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강남구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토허구역 해제 후 눈높이가 높아진 상황에서 호가를 내려가면서까지 빨리 처분하길 원하는 집주인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집주인과 수요자 모두 관망세를 보이면서 당분간 가격도 횡보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766건으로 전월(6281건)을 넘어섰다. 거래 신고기한이 이달 말까지인 것을 고려하면 9000건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토허구역 재지정과 탄핵 정국 여파가 미친 4월은 이날 기준 82건에 그치는 등 전월 보다 저조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