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달보다 4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월에 가계대출이 4조 원 넘게 늘어났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완화됐다는 평가다. 다만 금융 당국에선 지난 2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조치가 아직 가계대출 통계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은 만큼 추후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4000억 원 늘어났다고 9일 밝혔다. 2월달 4조 2000억 원과 비교했을 때 크게 축소된 수치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 4000억 원 늘어 전달(4조 9000억 원)보다 증가폭을 줄였다. 기타대출은 3조 원 줄어 2월(-7000억 원) 대비 감소폭이 커졌다. 신용대출이 1조 2000억 원 줄어든 영향이 컸다.
업권 전반에서 가계대출 증가폭이 축소된 모습을 보였다. 은행 가계대출은 1조 4000억 원 늘어 2월(3조 3000억 원)보다 증가세가 약해졌다. 2월에 2조 8000억 원 늘었던 정책성 대출이 지난달엔 1조 5000억 원 확대된 데 그쳤기 때문이다. 이 영향에 은행권 전체 주담대 증가폭은 2조 2000억 원으로 2월(3조 4000억 원)보다 감소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도 1조 원 줄었다. 2월에 9000억 원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세로 전환했다. 상호금융(8000억→3000억 원), 저축은행(-300억→-2000억 원), 여신전문회사(3000억→-9000억 원)에서 증가폭이 줄어든 모습을 나타냈다. 보험 부문 가계대출도 전월보다 1000억 원 감소했다.
금융위는 “2월 신학기 이사 수요 등으로 큰 폭 늘었던 주담대가 3월 들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분기말 부실채권 매·상각에 따른 잔액 대출 감소 효과가 더해지며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토허제 해제 조치가 가계대출에 미치는 영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해석이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월 13일 서울 일부 지역에 토허제를 해제했다. 이후 부동산 시장 불안 우려가 커지자 지난달 19일 토허제를 확대 재지정했다. 주택거래와 가계대출 실행 사이엔 2개월 가량의 시차가 있기 때문에 3월 가계대출 통계에는 2월달의 토허제 해제 영향이 온전히 반영되지 않았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 활발하게 이뤄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된다”며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토허제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국토교통부를 포함한 관계 기관과 함께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