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를 위한 민관 협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이를 통해 올해는 6조4000억원 규모의 R&D 예산을 투입하고, 내년 예산은 이보다 확대해 국가 전략기술 중심의 산업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의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 개최했다고 밝혔다. 미래대화는 AI 대전환,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등 대내외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산·학·연의 역량을 총결집하기 위한 목표로 이번 미래대화에서는 과학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차세대 성장동력 및 국가 아젠다 발굴, 국가전략기술이 실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양성, 제도 개선 등을 국가전략기술 대표 산·학·연이 정부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근거로 신산업, 미래 공급망 및 국가안보 차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은 국가전략기술에 R&D 투자·지원을 집중해왔고, 올해는 6.4조 원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R&D 투자가 시급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정부가 기업이 과감히 도전하고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줄 것을 제안했다. 나아가 대학과 연구기관 등은 기초·원천기술 개발 및 인재 양성에 집중하는 등 산·학·연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나아가 참석자들은 기술패권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전략기술 우수 인재 양성 종합대책이 필요하며, 인공지능, 양자기술, 반도체, 첨단 바이오 등과 같은 핵심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 인재 풀의 확대가 절실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제5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기술 분야별, 산업별로 인재가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세계 최고 인재를 유치하는 방안 등을 강구하겠다”고 답했다. 과기정통부는 미래대화 이후 참여기관 및 관계부처 등으로 구성된 실무 추진위원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하여 국가전략기술 아젠다 발굴 및 규제·제도 개선 방향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논의된 사항을 토대로 오는 9월 말 ‘국가전략기술 서밋’을 개최해 산·학·연, 글로벌 싱크탱크 등이 함께 하는 자리에서 과학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공동의 방안을 발표하고, 향후 추진사항 등을 공유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