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가 국내 최초로 마이데이터 가입자 2000만 명을 돌파했다. 마이데이터는 금융회사가 갖고 있는 개인신용 정보를 데이터 사업자에게 제공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다.
카카오페이는 14일 마이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분석·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마이데이터 사업을 시작한 지 3년여 만에 이뤄낸 성과라는 게 카카오페이 측의 설명이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를 통해 고객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받았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인 게 ‘신용점수 올리기’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최근 2년간 약 210만 명의 신용점수를 평균 21점 상승시키는 효과를 거뒀다.
카카오페이는 또 업계 최대 규모의 선불충전금 카카오페이머니 같은 카카오페이 서비스 활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안신용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신용평가 모델과는 차이가 나는 형태다. 상환 이력 중심의 기존 신용평가를 넘어 대안 정보를 활용해 더욱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2년간 약 2만 명이 사용했다. 총 1조 1340억 원 규모 대출의 금리가 평균 1.52%포인트 하락했다는 게 카카오페이의 설명이다. 사용자별 연간 평균 90만 원, 총 172억 원의 이자를 절감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도 주요 서비스 중 하나다. 매년 50만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예상 환급액과 납부액을 계산해주고 부족한 내용 안내와 최대 공제 한도를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절세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더 고도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매달 쓰는 생활비와 함께 모으는 저축, 같이 갚아나가는 대출 등 자산을 함께 관리하고 있는 부부를 위한 함께하는 자산관리도 카카오페이만의 서비스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금융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대표 서비스인 ‘금융비서’는 사용자의 마이데이터와 신용 정보 등을 기반으로 금융 현황을 분석해 필요 행동을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맞춤 금융 정보를 제공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