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시중에 풀린 돈이 전월보다 25조 원 넘게 늘며 22개월째 증가세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서기 전 금리 고점 기회를 잡으려는 움직임에 예적금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은이 15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올 2월 M2(광의통화, 평잔)는 전월 대비 25조 7000억 원 늘어난 4229조 5000억 원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0.6% 증가한 수치다. 1월(+0.5%)보다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되며 2023년 5월부터 22개월째 상승세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1월 7.5%에서 2월 7.2%로 줄었지만 2개월 연속 7%대 증가율을 이어갔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로 통상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의미한다.
M2 구성 상품 중에 수익증권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수익증권은 1월보다 12조 5313억 원(3.3%)이나 불어난 392조 9986억 원을 기록했다. 2023년 12월(3.5%)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만기 2년 미만 정기예적금은 1월에 5조 9000억 원 감소했으나 2월에는 한 달 만에 반등해 8조 5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금전신탁은 한 달 사이 4조 9000억 원 불었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하락 전망에 따른 예금자들의 선제적 자금 예치에 따라 정기 예적금이 증가했다”면서 “수익증권은 최근 증시 변동성이 큰 만큼 채권형 증권 위주로 반등한 것으로 보이는데 유의미한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3조 6000억 원)와 기업(+4조 원), 기타금융기관(+17조 1000억 원) 등에서 유동성이 늘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