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커로 ‘내란’ 글자가 칠해진 윤석열 전 대통령의 친필 휘호 표지석 처리 방안을 두고 창원시가 고심하고 있다. 우선 가림막으로 가려진 상태지만 헌법재판소의 선고로 파면 당한 윤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재판, 표지석 훼손에 대한 경찰 수사가 각각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16일 창원시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의 친필 휘호 표지석은 경남 창원시 성산구 한국산업단지공단 50주년을 맞아 경남지역본부 앞에 지난해 4월 설치됐다. 창원시가 소유·관리하는 해당 표지석에는 ‘산업강국의 요람 창원국가산업단지 2024. 4.24 대통령 윤석열’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지난해 12·3 비상계엄령 선포 후인 같은 달 10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이에 항의해 표지석의 ‘대통령 윤석열’ 앞 부분에 검은색 래커로 ‘내란’ 글자를 썼다. 창원시는 다음 날인 11일 표지석에 검은 색 천을 씌워 글자를 모두 가렸다.
표지석 낙서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 창원중부경찰서는 재물손괴 혐의 적용 여부 등 법률 검토를 진행 중이다. 칭원시는 표지석에 대한 보존이나 원상복구, 철거 중 처리 방향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수사 결과, 이후 상황 등에 따라 판단을 내린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