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배터리 1위 기업인 중국 닝더스다이(CATL)와 글로벌 전기차 1위인 비야디(BYD) 등 중국 기업의 국내 시장 공략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올 1월 한국 법인인 ‘시에이티엘코리아 주식회사’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설립했다. 자본금은 6억 원, 발행 주식 수는 12만 주다. 공동 대표에는 호주 국적인 권혁준 사내이사, 중국 국적인 한신준 사내이사가 각각 이름을 올렸다.
권 공동대표는 CATL 본사의 법무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그간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등의 공급망을 관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법적 규제에 민감한 ESS 등 배터리 사업 진출시 발생하는 리스크와 네트워크 확대 등을 전담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한 공동 대표는 본사와 소통하며 한국 사업 확대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CATL코리아는 사업 목적에 △배터리 및 ESS 제품의 판매·설치·운송·유통 △배터리 재활용 △전기차 충전소 운영 △물류 및 창고업 △부동산 매매 및 임대업 등을 적시했다. 전기차와 ESS용 배터리 판매뿐 아니라 중고 배터리 재활용 등 유통망 확보에도 집중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주력 제품인 각형 LFP 배터리 등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BYD도 최근 국내 첫 승용모델인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토3’의 고객 인도를 시작했다. 보조금 평가 등 정부 인증 절차로 인해 연기됐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개시되면서 BYD의 국내 시장 공략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아토3의 출시가는 기본 트림인 아토3이 3100만 원대, 상위 트림인 아토3 플러스가 3300만 원대로 저렴한 수준으로 책정됐다. BYD코리아에 따르면 국고 보조금은 145만 원이며 지방자치단체별 보조금을 추가 적용하면 2000만 원 후반대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화웨이의 돌풍도 매섭다. 화웨이가 세계 최초로 출시한 트리폴드폰(두번 접는 폰) ‘메이트 XT’는 지난해 9월 출시 이후 약 40만대가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중국 내수 수요인 것으로 예상되긴 하지만, 메이트 XT의 출고가가 한화로 400만~500만 원 수준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 2조 원 규모 내외가 팔린 것으로 추정된다. 올 하반기 삼성전자도 자사 최초의 트리폴드폰을 한국과 중국 시장에서 우선 출시할 전망인 만큼, 메이트 XT와의 경쟁에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