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이 최근 중국의 TV 제조사인 TCL과 하이센스가 TCL과 하이센스가 허위 광고 등의 이유로 집단소송을 당했다고 보도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폭스뉴스의 지역 방송인 '폭스35 올랜도'는 최근 중국 TV 제조사인 TCL과 하이센스가 집단소송을 당한 내용을 보도하며 "당신의 거실에 이미 있는 중국산 제품이 당신이 지불한 가격의 제품이 아닐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TCL과 하이센스는 올초 "일부 QLED TV가 QLED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허위 광고했다"는 이유로 미국 소비자들로부터 집단 소송을 당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퀀텀닷 소재를 사용한 TV를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식하고 'QLED TV'라는 명칭에는 실제로 퀀텀닷을 사용했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소송을 제기한 소비자들은 "실제로는 해당 제품들이 QLED 기술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미미한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폭스35 올랜도는 "소비자들은 지불한 가격에 비해 제품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말한다"며 "만약 TV가 실제 탑재된 기술을 반영하도록 제대로 마케팅됐다면 다른 TV를 선택했거나 아예 다른 제조사를 선택했을 것"이라고 했다.
두 업체에 대해선 "삼성처럼 유명한 브랜드는 아니지만 최근 몇 년간 CES에 참여해 부스와 프레스 콘퍼런스 규모를 키우고, 여러 매장에 입점하며 접근성을 높였다"고 소개했다. 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프리미엄급 사양을 강조해왔다는 점도 언급했다.
퀀텀닷은 머리카락 굵기 수만분의 1에 불과한 초미세 반도체 입자로, 디스플레이에 퀀텀닷을 사용하면 넓은 색 재현력으로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가장 가까운 색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픽셀별로 광원을 조절해 블랙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다. 각 소송에선 해당 기술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만큼 적게 들어있거나 아예 들어있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개별 테스트 결과도 첨부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양 사는 자사 TV에 해당 기술이 있으며 동일하게 마케팅을 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분쟁이 진행 중이다. 한솔케미칼은 앞서 지난해 11월 TCL을 표시광고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퀀텀닷 소재를 만드는 한솔케미칼은 퀀텀닷 관련 연구개발을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는 QLED TV에 대한 시장조사를 진행하던 중 TCL의 QLED TV 제품 중 일부에 실제로는 퀀텀닷 소재가 사용되지 않은 점을 발견했다.
당시 한솔케미칼 관계자는 "퀀텀닷 소재가 사용되지 않은 제품에 QLED TV 표기를 하거나 QLED 제품인 것처럼 광고 등을 진행하는 것은 QLED 제품 전반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며 "이 같은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묵인하는 것은 소비자 신뢰를 저버리는 행동이라는 인식 하에 제소하게 됐다"고 했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QLED TV는 작년 한 해 글로벌 시장에서 275만대가 판매되며 전체 TV 시장의 10.9%를 차지해 처음으로 점유율 10%를 넘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