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 국악 진흥을 맡을 기본계획이 나온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7일 서울 동대문 전통공연창작마루 강의실에서 일곱 번째 ‘오후 3시의 예술정책 이야기’ 공청회에서 ‘제1차 국악진흥기본계획(2025~2029)’ 초안을 공개하고 국악 관련 인사들의 의견을 들었다. 최종 계획안은 6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제1차 국악진흥기본계획’은 지난해 제정된 ‘국악진흥법’ 시행 이후 처음 수립하는 계획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기본계획에는 국악 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예술단체 육성, 악기·악보·공연장 개발 연구, 국악문화산업 활성화, 국악 해외 진출 등 주요 정책 분야가 담겼다.
우선 ▲‘국민과 함께 도약하는 국악’을 비전으로 삼고 ▲ 우리 문화의 자부심을 지키는 대표 문화예술 원천으로 ▲ 새로운 시장과 산업을 창출하는 원동력으로 ▲ 모두가 함께 누리는 일상의 활력소로 등의 3대 목표가 설정, 포함됐다. 이를 위해 ▲ 국악 자원 발굴 및 고도화 ▲ 수요자 중심의 ‘찾아가는’ 국악 ▲ 국악으로 새로운 시장과 산업 견인 ▲ 국악 발전을 위한 기반 마련이라는 4대 추진 전략이 마련됐다.
이어 국립국악원,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국악방송이 각각 기관별 국악진흥중장기계획을 발표했다. 토론자로서는 김상연 전남대 국악과 교수와 서인화 서울시 무형유산위원회 부위원장, 성기숙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 유은선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이정필 전 부산문화회관 대표, 임웅수 대한민국농악인협회 이사장, 정다샘 서강대 아트&테크놀로지학과 교수 등이 참석해 국악 기관들의 역할, 지역간의 문화 격차 해소, 국악 공연의 낮은 티켓값 문제 등을 논의했다.
다양한 분야의 국악계 인사들이 모였는데 논란이 된 국립국악원장 임명에 대한 이의는 제기되지 않았다.
이정우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이날 “국악을 획기적으로 바꿔보겠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국악을 사랑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