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1위 클라우드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한국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도 최근 공공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정부 인증을 따낸 만큼 한국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둘러싼 글로벌 빅테크의 동시다발 공략이 예상된다. ★관련 기사 4면
윤정원 AWS코리아 공공부문 대표는 18일 서울 강남구 AWS 사옥에서 “한국 공공 부문에서 이미 AWS 솔루션에 대한 도입 문의가 많다”며 “인공지능(AI) 도입에 필수적인 데이터 전환 역량과 안전한 인프라를 함께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AWS는 이달 1일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CSAP) ‘하’ 등급 인증을 획득했다. CSAP는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을 위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인증으로 MS와 구글클라우드도 지난해 12월과 올 2월 인증을 각각 받았다.
이미 한국 민간 클라우드 시장을 장악한 글로벌 빅테크들은 이제 네이버클라우드와 NHN(181710)클라우드·KT(030200)클라우드·카카오(035720)클라우드 등 국내 토종 기업들과 공공 시장에서도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로서는 CSAP ‘하’ 등급에 해당하는 ‘개인정보를 제외한 공개 공공 데이터 기반의 시스템’ 시장에만 들어갈 수 있어 당장 시장 파급력이 크진 않지만 이들이 성공 사례를 쌓아 더 높은 보안 등급을 획득하게 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국내 관련 기업들은 미국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는 점까지 우려하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최근 ‘2025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를 통해 클라우드 사업자가 CSAP ‘중’ 등급 이상을 취득하지 않으면 공공사업 참여가 제한된다는 점을 실질적인 진입장벽으로 지적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