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관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관련 상담을 신청하는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에 따르면 2월 18일 범정부 대응책의 일환으로 통합 상담창구 ‘관세대응 119’가 설치된 이후 이달 18일까지 두 달간 무려 3022건의 상담 문의가 접수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미주 지역 애로 상담 실적(679건)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4월 초 미 상호관세 발표 및 유예 발표 시점에는 하루 200건 이상의 상담이 쇄도했다.
기업들의 문의는 주로 관세(68%), 지원사업 및 인증·규격 관련 문의(21%)에 집중됐다. 이어 대체시장 바이어 발굴(7%), 현지생산 투자진출(4%)이 뒤따랐다. 관세 관련 상담 세부내역은 관세율 문의(81%), 원산지 규정(8%), 부과시기(7%), 과세가격(4%) 순으로 많았다. 기업뿐 아니라 미 통상정책 발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관세사들의 질문도 300건을 웃돌았다.
코트라는 미 관세 대응 관련 설명회도 전국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2월부터 이달 18일까지 개최된 총 29회의 설명회에 기업, 유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자 3277명이 참가했다. 정부부처와 유관기관에도 사내 전문가를 연사로 파견하는 등 정보와 동향 전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상시정보 전파를 위해 이달 10일부터는 매주 목요일 코트라 본사에서 ‘통상환경 비상대응 정기 설명회’를 실시하고 있다. 또 전국 주요 도시에서 ‘찾아가는 관세 대응 설명회’도 9차례 개최하는 등 지방소재 기업의 정보 수요에도 대응하고 있다.
코트라는 향후 상담 체계를 고도화하고 애로기업 지원을 위한 관세 대응 바우처를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및 멕시코, 중국 등의 글로벌 지역 전문가 281명이 대미 수출을 위한 현지 원산지 판정, HS 코드 검토 등을 통해 상담의 질을 높이는 한편 2000개 이상의 대미 수출 애로기업을 바우처를 통해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진출기업이 많은 베트남 등 현지에서도 관세 대응 설명회를 개최한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통상정책 관련 세밀한 상담뿐 아니라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다”며 “미 관세정책이 우리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시장과 바이어 발굴, 생산 거점 이전과 신시장 개척까지 종합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