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민간 주도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으로 LIG넥스원이 선정됐다. 하지만 함께 입찰했던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평가 절차와 결과에 대해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면서 잡음이 나오고 있다.
22일 우주항공청 등에 따르면 천리안위성 5호 사업추진위원회는 이달 1일 위성 본체 개발사업 수주 우선 협상대상 기관으로 LIG넥스원을 선정했다. ‘천리안위성 5호’는 2031년 발사를 목표로 추진 중인 우리나라의 세 번째 기상위성이다. 현재 기상 위성 역할을 하고 있는 천리안위성 2A호의 임무를 승계한다. 해당 사업은 올해부터 7년간 총 6008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앞서 발사된 다른 기상위성과 달리 처음으로 민간이 개발을 주도한다. 기상청과 우주항공청은 현재 천리안 5호의 ‘시스템과 본체 개발’ ‘기상탑재체 개발’ ‘우주기상 탑재체 개발’ 등 세 가지 과제를 맡을 민간 기업을 선정하고 있다.
LIG넥스원은 이번에 3가지 과제 중 시스템과 본체 개발 분야에 도전해 우선협상대상으로 선정됐다. LIG넥스원은 다목적 실용위성 6호 SAR(고성능 영상레이다) 탑재체를 시작으로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천리안 3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및 국방과학연구소가 주도하는 초소형위성체계 사업 등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자체 투자를 통해 오는 위성 체계 종합·시험동 건설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번 사업에 LIG넥스원과 함께 도전장을 내민 KAI가 이같은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KAI는 그간 다양한 국가 우주 사업에서 위성 본체 개발을 맡아 왔다. 하지만 이번에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한 LIG넥스원이 우선협상대상으로 선정되자 “LIG넥스원이 위성 시스템이나 본체 개발을 주도해 수행할 실적이 거의 없고, 위성 조립 및 시험 설비도 갖추고 있지 않다”며 한국기상산업기술원에 공식적으로 이의제기를 신청했다.
우선협상대상이 선정된 후 공식 확정 발표 전까지는 10일의 이의제기 기간이 주어진다. KAI가 한국기상산업기술원에 공식적으로 이의제기서를 제출하면서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30일 이내에 검토를 거쳐 결과에 대해 이의신청을 제기한 연구기관에 통보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