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6·3 대선에 출마할까. 행보만 놓고 보면 점점 출마 쪽으로 기울고 있다. 당장 24일(현지 시간) 열리는 한미 2+2 통상 협의와 관련해서는 “상호 이익이 되는 해결책을 마련하는 물꼬를 틀 것”이라며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고 22일 닷새 만에 다시 외신 인터뷰를 갖는 것도 예사롭지 않다. 정가에서는 한 권한대행이 명분, 국민의힘 최종 후보(단일화), 여론 등 3개 변수를 저울질하며 대선 출마를 결행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권한대행이 출마에 나설 경우 봉착할 첫 난관은 출마 명분이다. 국정을 한 달 만에 ‘대대행’ 체제로 재전환하며 발생하는 국정 공백 우려를 상쇄할 만한 명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권한대행은 더불어민주당의 29번 줄탄핵 등을 몸소 겪으면서 극단적인 정치 분열에 대한 문제의식이 컸다는 게 주위의 전언이다.
특히 ‘통상 위기 극복’이 우리 경제의 최우선 당면 과제로 꼽히는 상황인 점도 한 권한대행의 등판 명분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정가의 한 관계자는 “한 권한대행이 국정 발목 잡기식 대결 정치, 진영 정치에만 몰두해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와 대비해 차별화를 노리지 않겠느냐”며 “통합을 강조한 것도 그런 맥락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누가 될지도 변수다. 한 권한대행이 당선에 다가서기 위해서는 무소속 출마 뒤 국민의힘과 단일화가 필요하다. 문제는 단일화 과정이 지난할 수밖에 없는 점이다. 김문수 예비후보는 단일화에 전향적 의사를 나타냈지만 홍준표·한동훈 예비후보는 그렇지 않다.
한 권한대행으로서는 대선 출마 자체가 가시밭길을 의미한다. 여타 주자들은 낙선해도 당으로 돌아가 당권을 잡으면 된다. 하지만 평생을 관료로 살아온 한 권한대행에게 낙방은 곧 불명예 퇴진을 뜻한다. 그럼에도 출마를 고민하는 것은 그만큼 현 상황이 국가적 위기고 정치권의 리더십도 위기 극복에 모자란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을 것이라는 게 한 권한대행을 잘 아는 이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포인트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한 권한대행 지지율 출처는 대부분 보수층”이라며 “확장력을 갖추려면 대미 협상 결과 같은 성과가 필요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이미 정치원로·시민단체 중심으로 한 권한대행을 추대하는 움직임도 구체화되고 있다. 박성섭 대통령국민추대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난국을 타개할 유일한 지도자”라고 치켜세웠다. 하지만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한 권한대행을 향해 “국정·선거를 관리할 본분을 망각했다”며 “탄핵소추를 즉각 추진해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