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위해 살았던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88세를 일기로 선종 후 남긴 재산이 100달러(14만 원)밖에 되지 않는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매체 암비토는 유명인 순자산 전문 사이트 ‘셀레브리티 넷워스’를 인용해 교황이 선종 이후 남긴 재산이 100달러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보통 추기경의 월급은 4700달러(671만 원)에서 5900달러(843만 원) 선이라고 한다. 그러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 즉위 후 교황청에서 무보수로 봉사했다. 그는 지난 2013년 3월 교황에 즉위한 후 월급을 수령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는 그가 예수회 출신 성직자로서 평생 청빈한 삶을 이어가겠다는 ‘가난 서약’을 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1936년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난 교황은 즉위 전까지 고향인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빈민촌에서 가장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위해 헌신했으며, 2001년 추기경에 서임 된 후에도 작은 아파트에서 살았고, 추기경에게 배정된 고급 승용차가 아닌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교황명에서도 청빈한 삶을 살아온 교황의 성품이 잘 드러난다. 교황은 ‘가난한 자들의 성자(빈자의 성자)’로 불린 이탈리아 아시시 출신 성인 프란치스코(1181~1226)를 교황명으로 택했다. 전임 교황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한 바오로, 요한 혹인 베네딕토 등의 교황명을 사용하지 않고 소외된 이웃을 잊지 않기 위해 최초로 프란치스코란 교황명을 택한 것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검소한 생활은 즉위 후 바티칸에서도 이어졌다. 그는 화려한 바티칸 내 교황 전용 숙소를 마다하고 교황청 사제들의 기숙사인 ‘성녀 마르타의 집’에서 거주했다. 교황의 상징인 금 십자가 대신 낡은 십자가를 착용했으며, 교황의 상징인 화려한 빨간 구두 대신 평범한 검은색 구두를 신었다.
교황은 2014년 한국 방문 당시 국빈용 고급 의전차량 대신 기아의 ‘소울’ 차량을 이용하고 20년 된 철제 십자가, 낡은 구두와 오래된 가방을 착용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 또한 그의 바람대로 검소하게 치러진다. 교황 스스로가 지난해 11월 개정한 장례법에 따라 장례 절차를 대폭 줄여 오는 26일 바티칸에서 거행된다. 교황은 유언을 통해 자신을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무덤을 만들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