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자체개발한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버전을 오픈소스 형태로 선보인다. 더 많은 이용자가 네이버 AI 생태계에 참여하도록해 AI 산업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네이버는 단계적인 사고하는 추론 모델도 올해 상반기 공개한다. 이를 토대로 ‘소버린(주권) AI’ 확산에 앞장서겠다는 것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하이퍼클로바X 시드’ 시리즈인 △시드 3B △시드 1.5B △시드 0.5B 등 총 3종의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 형태로 배포한다고 밝혔다. 이들 모델은 국내외 기업, 연구기관 등이 자유롭게 내려받아 상업 및 연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비용 부담이나 라이선스 제한 등의 문제로 생성형 AI 도입을 망설였던 중・소규모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국내 AI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김 대표는 “네이버 서비스에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경쟁력 있는 특화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그래픽처리장치(GPU)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설명했다.
파라미터(매개변수)가 30억 개 수준인 경량 모델인 시드3B는 이미지와 영상까지 처리할 수 있다. 개체 인식, 이미지 묘사, 도표 이해 등도 가능하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어와 영어 기반 9개 벤치마크 평가에서도 유사 규모의 미국·중국 빅테크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시드3B는 시각언어모델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사업에 활용될 수 있다. 상품 페이지의 정보를 인식해 광고 카피를 제안하는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다. 또 사진 및 영상 콘텐츠와 함께 국내 여행지 정보를 안내하는 서비스를 설계할 수 있다.
아울러 ‘초경량’ 모델 시드1.5B와 0.5B도 더욱 빠른 처리 속도와 적은 운영 비용이 장점으로 다방면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도 상반기 내놓는다. 이 모델은 수학,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더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을 넘어, 시각 및 음성 정보 이해, 자동 웹 검색, API 호출, 데이터 분석 등 능력도 끌어올렸다.
네이버는 아울러 음성도 인식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델을 출시한다. 이 음성 모델은 감정을 표현하는 음성 합성, 말투와 스타일을 분석하는 기능, 자연스러운 대화 흐름 등이 가능하다. 네이버는 향후 텍스트와 음성을 유연하게 넘나드는 AI 대화 모델을 개발해 더욱 진보된 음성 기반 AI 상호작용을 구현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오픈소스 경량 모델, 추론 모델, 멀티모달 모델을 앞세워 국내 AI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네이버는 대규모 사용자 기반의 자사의 서비스에 적용하고 기업용 솔루션 개발을 추진한다.
김 대표는 “최근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소버린 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이며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며 “이 과정에서 기술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 밀착한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탄탄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어 “AI 저변 확대를 위한 이러한 노력들이 국내 소버린 AI 생태계의 체력을 더욱 단단히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