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차를 5㎝ 이내로 줄인 고정밀 위치 정보를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첨단 모빌리티에 활용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해양 정보 산업 시장 규모를 2029년까지 27조 원 수준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24일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양 항행정보시스템 혁신 전략’을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해 첨단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등부표 1800기 등 해양 인프라가 수집한 정보로 해양 정보 산업화를 지원하는 것이 이번 전략의 골자다.
먼저 정부는 위치 정보 오차를 기존 10m에서 5㎝로 보정한 고정밀 위치 정보 서비스(GPS)를 스마트 항만, 자율운항 선박, 육상 물류 운송, 농업용 드론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이미 지난해 개발을 마쳤으며, 정부는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현재 7만 명 규모인 항행 정보 시스템 이용자를 2029년까지 110만 명 규모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해양 정보를 활용하는 산업 시장 규모도 현재 21조 원에서 같은 기간 27조 원으로 6조 원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서해 접경 수역 지역에서 북한의 GPS 전파 교란에 어업 활동이 제약받지 않도록 지상파위치정보시스템의 수신기를 선박에 보급할 계획이다. 지상파항법시스템의 위치 오차를 현재 최소 20m 수준에서 10m 수준으로 개선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센서를 갖춘 스마트 항로표지 개발을 통해서는 해상 등부표 등 항행 정보 시설이 항로 안내 기능을 넘어 해양 기상, 환경, 생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표류하는 사고 선박을 표시하는 이동식 항로표지와 긴급 위험구역 표시용 가상 항로표지 등 특수목적 항행 정보 시설도 도입한다.
정부는 이렇게 수집한 해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전용 통신망도 구축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전략에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항행 정보 시설을 고정밀 위치 정보와 다양한 해양 정보를 제공하는 항행 정보 분야의 핵심 시설로 자리매김시키기 위한 비전을 담았다”며 “우리 국민이 더 안전하게 바다를 이용하고 첨단화된 일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