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증시 변동 장세 심화로 투자자들의 단기 자금이 파킹형 상장지수펀드(ETF)에 몰리고 있다. 머니마켓펀드(MMF)는 운용자산 규모가 클수록 유동성과 안정성이 높은 만큼 순자산 규모가 큰 상품에 자금이 쏠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가 상장 후 약 9개월여 만에 순자산 6조 원을 넘어섰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상품은 올 들어서만 2조 원에 육박하는 자금이 유입됐으며 개인 투자자들도 1907억 원의 순매수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KODEX 머니마켓액티브는 초단기 채권, 기업어음(CP) 등 신용도가 높은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는 MMF의 운용 방식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일반 MMF와 유사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가지면서도, 기존 MMF 대비 운용 규제 부담이 적어 보다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금리 변동이나 시장 변동성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자 대상을 엄격히 제한하고 신용 등급이 높은 자산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안정성을 높였다. 이러한 특징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도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단기 자금을 맡길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JP모건 등에 따르면 단기 금융시장에 투자하는 MMF의 경우 운용자산 규모가 클수록 다양한 자산으로 분산 투자할 수 있어 유동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MMF 상품을 고를 때 운용 규모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현재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는 순자산 6조 305억원으로 국내 상장된 971개 ETF 중 순자산 기준 4위에 올라있다. 머니마켓 ETF뿐만 아니라 전체 단기자금 파킹형 ETF 가운데서도 가장 큰 규모다.
수익률도 우수하다. 기준 금리가 연 2.75% 수준으로 낮아진 현재 상황에서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는 지난 8월 상장 후 연 환산 수익률 3.61%를 기록 중이다.
윤성인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단기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