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이끄는 한국경제인협회 경제 사절단이 프라보워 수비안토 신임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처음 만나 경제 협력의 물꼬를 텄다. 인도네시아에 23조 원 이상 투자를 단행한 한국 기업들은 첨단 제조업과 신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지 기업들과 협력을 진행한다.
한경협은 28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신 회장을 단장으로 한 고위급 경제사절단을 파견해 29일까지 활동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이후 처음 파견된 경제사절단으로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이재근 KB금융지주 부문장, 성김 현대차 사장 등 국내 주요 기업의 고위급 인사 24명이 참여했다.
사절단은 이날 메르데카 대통령궁에서 프라보워 대통령 주최로 열린 오찬 간담회에 참석했다. 신 회장은 “한국 경제계는 프라보워 대통령이 중점 육성 중인 다운스트림 산업,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디지털 경제 분야에서 인도네시아 기업들과 긴밀히 협력하고자 한다” 며 “롯데는 대규모 석유화학단지 조성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다운스트림 화학제품 생산 역량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절단 참여 기업들은 이미 270조 루피아(약 23조 원) 규모의 현지 투자를 완료했다. 앞으로 첨단 제조업과 광물자원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추가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롯데쇼핑은 유통, 현대차는 전기차 생태계, 한화손해보험은 금융, KCC글라스는 유리산업에서 신규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종근당(제약), HD현대사이트솔루션(기계), SPC(식품), 메가존클라우드(AI)도 추가 투자를 계획 중이다.
한경협은 이날 자카르타 랭햄 호텔에서 인도네시아 경영자총협회와 공동으로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BRT)’을 개최했다. 신 회장은 “한국 기업은 인도네시아가 자원 중심 경제에서 가치 창출 경제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전략적 동반자” 라며 “인도네시아가 보유한 주요 자원과 한국 기업의 제조 기술이 결합할 경우 인도네시아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이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절단은 토도투아 파사리부 인도네시아 투자부 차관, 로산 로슬라니 인도네시아 투자부 장관 겸 다난타라(Danantara)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원활한 현지 경영 활동을 펴기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한-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통해 원산지 증명 방식이 완화됐지만 할랄 인증 의무화, 전자상거래 판매 규제 등 여러 비관세 장벽이 여전히 존재한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이번 사절단을 통해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이후 양국 간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멘텀을 마련했다”며 “양국 기업인 간 협력 확대를 위한 실질적 플랫폼을 구축하고 교역·투자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