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7월부터 실제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하는 실증사업을 전국 최초로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경기도는 지난달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2025년 수요기반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공모에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국내 자율주행차량 실증과 상용화가 본격화되면서 운전자 조작없이 주행하는 환경에서의 보안 안정성이 화두로 부각되고 있다. 해외의 원격제어권 해킹 시연 사례에서 알 수 있듯 통신망 보안 위협은 자율주행의 불안 요소로 손꼽혀 이번 양자암호통신의 적용은 자율주행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질일보한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사업은 경기도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융기원), SK브로드밴드 등 양자기술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연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된다. 경기도는 자율주행차량 실증환경 제공과 행정적 지원을 맡는다. 실증 수요기관은 판교 경기도자율주행센터(융기원), 실증 대상 차량은 실제 도로를 주행 중인 ‘판타G버스’다.
판타G버스에 자율주행차량과 관제센터 간 실시간 통신망에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실제로 적용해 보안성과 신뢰성을 높이는데 주력한다. 양자암호화 핵심기술인 양자키분배(QKD)와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보안모듈을 동시에 적용하는 방식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앞선 기술적 시도다.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차세대 고성능 양자컴퓨터로도 해킹이 어렵다는 특성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를 수집·전송하는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해킹 등 보안 리스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향후 스마트시티, 의료, 금융 등 민감 분야로의 기술 확장도 가능하다.
경기도는 새 정부 공약인 AI 등 신산업 집중육성 분야의 ‘양자정보통신기술(Quantum ICT)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R&D 지원 강화’ 기조에 발맞춰 국내 최고 수준의 양자연구 실증기반 인프라와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해 정부의 양자기술 상용화와 조기확산을 위한 선도 사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이번 사업은 AI와 양자기술이 융합 적용된 선도사례로 경기도가 가진 연구 인프라 및 사업기반과 민간 참여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이 결합한 성과”라며 “공공과 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AI 및 양자기술의 융합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