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금융통화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은행권을 중심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 총재는 이날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히면서 “미래 화폐는 디지털화돼 프로그램을 집어넣어야 하며 대통령도 말했듯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당연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은이 예금 토큰 실험을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미래를 구상해왔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그러나 은행권이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는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다수의 비은행 민간기관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면 기관별 화폐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면서 “19세기 민간 화폐 발행이 활발했던 시기의 혼선이 반복될 수 있고 통화정책 수행이 어려워 결국 중앙은행 시스템으로 회귀하는 과정을 겪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금융 산업 성장이라는 명분도 좋지만 스테이블코인 확대 과정에서 나타나는 외환 유출입 문제도 경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한은이 인허가권을 받으려는 것처럼 오해하는데 국민 전체와 국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입장일 뿐”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