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연내 미국에서 인공지능(AI) 헬스코치 서비스를 내놓는다. 그동안 갤럭시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와 삼성헬스 서비스 노하우에 AI기술을 접목해 디지털 헬스 시장을 혁신하기 위한 행보다.
박헌수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헬스팀장은 10일(현지시간)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 행사 직후 기자 간담회에서 “병원과 의료체계를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항상 연계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AI 헬스코치는 삼성 헬스 앱을 통해 챗봇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자의 건강 정보는 물론 의료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웨어러블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면과 영양, 활동, 스트레스 4가지 분야로 나눠 각 분야 지수의 변동을 파악하고 AI 모델이 각 변화가 사용자의 건강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분석하게 된다. 건강에 이상이 감지되면 생성형 AI가 필요한 코치를 지원하는 등 로드맵을 제시하기도 했다. 박 팀장은 “우선 미국 시장에서 출시해 다양한 피드백을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출시 일정은 미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날 테크포럼에서 기존의 헬스 서비스를 곳곳에 산재한 데이터를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으로 육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이를 위해 지난 7일 미국의 디지털 헬스 플랫폼을 인수했다. 박 팀장은 젤스와 함께 통합 헬스 플랫폼 구축하는 데 있어 인공지능(AI)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팀장은 “삼성전자는 큰 회사지만 이 문제를 혼자 해결할 수는 없다”며 헬스케어 분야 혁신을 위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젤스와 함께 삼성 헬스 기능의 수익화도 검토 중이다. 박 팀장은 “현재 제공 중인 헬스 기능은 무료로 지원하되 향후 추가 기능이 출시되면 수익 정책이 결정될 것”이라며 “최근에 인수한 젤스를 통해 기업간거래(B2B)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 모델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 함께 한 마이클 맥쉐리 젤스 최고경영자(CEO)는 “10년 전에는 종이에 약을 처방받았지만 지금은 98%가 전자처방으로 바뀌었다”며 디지털 헬스 관련 데이터를 연결하는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