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10명 가운데 4~5명은 올해 여름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3.6일 정도의 휴가를 보낼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6월 27일부터 7월 3일까지 중소기업 CEO 300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CEO 여름휴가 계획 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소기업 CEO의 45%는 국내 여름휴가 계획이 있는 것(휴가 일수 3.6일)으로 나타났다.
휴가 형태는 ‘명소·휴양지 방문’이 5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독서·사색 등 집에서 휴식’(22.2%) ‘레저·스포츠 활동’(17.8%), ‘고향·친지 방문’(5.2%) 순이었다.
국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이유는 ‘편의성’(51.9%) ‘내수살리기 동참’(14.1%) ‘비용 절감’(14.1%) ‘업무와 병행 가능’(12.6%) ‘문화적 피로도 없음’(5.9%)으로 조사됐다.
여름 휴가계획이 없는 중소기업 CEO(55%)는 그 이유로 40.6%가 ‘업무로 인해서’라고 답했다. ‘연중 수시 휴가사용으로 여름휴가 계획 없음’(29.1%) ‘경영상황 악화로 여력 없음’(18.2%)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휴가지 활용 계획에 대해서는 86.6%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없다’는 응답은 13.3%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여름휴가 제도 형태는 ‘연차휴가 등을 활용한 개별 휴가 유도’가 69.7%로 제일 많았다. 이어 ‘특정 기간을 지정해 단체 휴무’(27.3%), ‘업종 특성상 여름휴가보다는 다른 시기(봄, 가을 등) 휴가 권장’(3.0%)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여름휴가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재정 지원(휴가비 지원 등)’이 64.3%로 가장 많았다. ‘제도 개선(휴가사용 촉진 제도 등)’(22.7%) ‘인프라 지원(휴양시설 제공 등)’(11.7%)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여행(휴가사용)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방안은 ‘여행비 지원’(57.0%) ‘관광 품질 개선’(15.0%) ‘여행 및 문화산업 활성화’(10.0%) ‘인프라 개선(숙박시설 확충 등)’(9.7%) ‘지역 관광 활성화’(8.0%)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는 ‘직접적인 소비 지원(전국민 민생지원금 지원)’이 58.0%로 제일 많았다. ‘금융 지원 확대(대출 만기연장)’(43.7%) ‘가계소득 보장(고용일자리 창출)’(27.3%) ‘비용부담 완화’(23.3%) ‘관광 인프라 마련 및 지원’(22.3%) 등을 꼽은 응답자도 적지 않았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내수침체와 소비인구 감소로 지난해 소상공인이 100만 명이 넘게 폐업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경제계는 물론 국민 모두가 가급적 올여름 국내 휴가를 지역 명소를 찾아 맛집에서 소비를 늘려 내수살리기에 동참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