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초단기 미수 거래 상환 실패 사례가 급증하면서 반대매매 비중이 두 배로 뛰었다. '빚투(빚을 내서 투자)'를 비롯해 열기가 달아오른 장세 속에서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린 레버리지(차입) 투자가 급증한 결과다.
2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21~22일 미수 거래 반대매매 금액은 약 75억 원으로 직전 거래일인 18일(약 39억 원)보다 88% 급증했다. 전체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비중도 0.4%에서 0.8%로 2배 높아지면서 통상 투기 과열의 경고 신호로 여겨지는 1%대에 바짝 다가섰다.
미수 거래는 주식 결제일까지 외상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초단기 거래다. 통상 미수 거래 투자자들이 주식 매수 당일에 바로 매도하기 위해 활용된다. 반대매매는 결제일까지 대금을 갚지 못할 시 증권사가 고객의 동의 없이 해당 주식을 시장가에 처분해 돈을 회수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미수금 총액은 이달 내내 9000억 원대를 횡보하면서 큰 변화가 없었지만 강제로 청산당하는 사례가 늘어난 셈이다.
앞서 지난달 말 반대매매 금액은 연이틀 100억 원대를 기록하며 경고등이 켜지기도 했다. 올해 증시 활황으로 빚을 내서 단타 매매에 나서는 흐름이 과열되면서 미수거래 잔액이 덩달아 늘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에만 32개 종목이 단기과열 종목으로 지정돼 월간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이달 14건이 추가되며 불과 6주 만에 연초 5개월간 누적 건수의 70%를 넘어섰다.
반대매매가 늘면 시장에 매도 물량이 급격히 쏟아져 주가 하락을 부추기고 다시 반대매매로 이어지는 등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4월 중동발 악재로 코스피가 2660대에서 2550대로 하루 만에 약 4% 급락하던 시기에 이틀에 걸쳐 반대매매 금액이 272억 원 발생했다. 이에 증시 불확실성을 계량화하는 변동성 지수(VKOSPI)도 연중 최고로 치솟은 바 있다.
최근 두 달 동안 신정부가 들어서면서 단기 모멘텀에 의한 테마주의 과열로 변동성 장세가 이어진 점도 영향을 미쳤다. 가상자산, 해운, 원자력 등 각종 테마주들이 연일 급등락을 거듭했고 이 과정에서 고점에 뛰어든 개인 투자자들이 주가 조정으로 인해 잇따라 미수금 상환에 실패했다. 지난달 중순께 원전 관련주는 정책 기대감에 급등했지만 이후 신용잔고 증가와 함께 반대매매는 20일 하루에만 112억 원 규모로 이뤄졌다.
전체 신용거래 융자 금액도 한 달 넘게 20조 원대 이상을 유지하며 빚투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추격 매매를 지양할 것을 강조한다. 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빚을 내 레버리지 효과를 꾀하면 더 큰 이익을 볼 수 있지만 반대매매 등 위험에 노출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신중히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