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카드사들의 올 상반기 대손 비용이 2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 둔화에 부실 대출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데 새 정부의 상생 압박과 카드사들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상반기 주요 카드사 6곳(삼성·신한·현대·KB국민·하나·우리)의 대손 비용 합계는 1조 9453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1조 7600억 원 대비 10.5% 늘어난 규모다.
대손 비용은 카드론 또는 카드 금액 가운데 원금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채권을 손실로 반영하는 비용이다. 올 들어 경제 여건이 악화하면서 부실 확대를 막기 위해 6개 카드사 모두 대손 비용을 전년 대비 늘렸다.
이 중 현대카드가 대손 비용을 지난해 상반기 1782억 원에서 올 상반기 2226억 원으로 늘리며 가장 큰 증가 폭(24.9%)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신한카드(16.9%)와 삼성카드(13.4%), 우리카드(9.6%) 순서로 증가 폭이 높았다. 하나카드(1.1%)와 KB국민카드(0.1%)도 소폭이지만 대손 비용을 늘렸다.
상반기 6개 카드사의 합산 순이익은 1조 115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 3604억 원 대비 18.0% 감소했다. 현대카드를 제외한 다섯 곳이 모두 역성장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속된 카드 업계 수수료 인하로 이미 본업에서 ‘제로 마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손 비용까지 늘어나면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당장의 수익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위축된 경기가 언제 풀릴지 아직 불투명한 데다가 금융 당국이 카드론에 대해서도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침을 적용하면서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한 카드사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면서 카드론이 급격하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익성에 높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장기 연체 채권 채무 조정을 위한 배드뱅크 출자로 대손 비용이 추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출자금 4000억 중 3500억 원을 은행이, 나머지 500억 원을 보험·카드사 등 제2금융권이 분담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스테이블코인과 핀테크 등 기존 카드업에 대한 경쟁 위협 요인도 증가하고 있어 업계의 고심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