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035720)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플레이MCP' 플랫폼을 베타 오픈했다고 13일 밝혔다.
플레이MCP는 국내 첫 모델 콘텍스트 프로토콜(MCP)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이다. 개발자라면 누구나 자신이 만든 MCP 서버를 등록하고 실제 대화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테스트해볼 수 있다. 다른 개발자의 MCP와 도구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MCP는 인공지능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도구와 소통하는 방식을 표준화한 통신 규약으로, AI 모델이 MCP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 손쉽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카카오는 플레이MCP를 통해 차별화된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는 “‘일상 AI’ 서비스 맥락을 고도화하고, 외부 개발자와의 협업을 확대해 AI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는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필요한 작업을 자율 처리하는 시대가 도래 중”이라며 “플레이MCP는 카카오 안팎의 개발자들이 함께 에이전틱 AI의 기획·실험·실행을 통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플레이그라운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