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자산운용이 자사 타겟데이트펀드(TDF)인 ‘한화 LIFEPLUS’의 3개월 수익률이 1위를 차지했다고 29일 밝혔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LIFEPLUS 2050’의 25일 기준 3개월 수익률은 8.13%로 빈티지 내 소속된 타사 상품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TDF 상품명 뒤에 붙는 빈티지는 고객이 퇴직하는 예정 연도를 뜻한다. 상품명이 LIFEPLUS 2050이면 고객이 2050년에 투자 자금을 회수할 것으로 기대하며 상품 구조를 설계했다는 의미다.
나머지 빈티지에서도 선전했다. 2040(7.39%), 2035(6.76%), 2030(6.06%), 2025(4.85%)로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에 편입된 전 빈티지에서 한화자산운용의 TDF가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투자 지역과 자산 특성에 맞게 액티브·패시브 운용 방식을 선택하는 ‘하이브리드 운용 전략’과 자산 별로 환 헤지 여부를 달리 적용하는 ‘환 전략 차별화’가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미국 달러가 안전자산 역할을 하며 방어적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설계돼 최근 변동성이 심한 장세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을 낼 수 있었다.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디폴트옵션에 다수 편입되며 운용 규모도 급증했다. 힘입어 한화자산운용 TDF의 운용 규모는 디폴트옵션이 도입된 해인 2022년 말 대비 155% 성장했다. 2022년 말 1452억 원이었던 운용 규모는 25일 기준 3698억 원으로 불어났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디폴트옵션 TDF가 퇴직연금 시장의 중심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판단이 주효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