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동’ 행보를 보여온 이재명 대통령이 고용 세습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면서 자동차 노조의 주장을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최근까지도 고용 세습 주장을 펼쳐온 자동차 노조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올지 주목된다.
9일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 첫머리 발언 말미에 “이 얘기도 하나 해야할 것 같다”며 최근 자동차 업계가 노조가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고용세습’ 문제를 거론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이런 사회 갈등을 유발하는 노동자 측의 과도한 주장은 자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KG모빌리티(003620) 노조가 사측에 고용세습을 요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것을 정면으로 거론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극히 일부 사례라고 믿겠지만 최근 노조원 자녀에게 우선 채용권을 부여하자고 했다가 말았다는 보도를 본 일이 있다”며 “이래서는 안되지 않겠냐”고 했다.
앞서 KG모빌리티 노조는 최근 퇴직 희망자의 자녀를 채용하는 ‘2025년 기술직 트레이드’를 추진했다. 1968년생 이후 출생한 기술직 직원이 자진 퇴사하면 이 직원의 자녀가 같은 직군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대상도 ‘남성’으로 한정돼 형평성은 물론 성평등에 어긋난다는 논란까지 일었다.
정년 퇴직자나 장기 근속사의 자녀를 우선 체용하는 자동차 업계의 고용세습 문제는 ‘현대판 음서제’라는 비판에 사라지는 추세다. 관련 제도를 유지하던 현대차(005380) 노조는 2019년 단체협약에서 관련 조항을 삭제했으며 기아(000270) 노조는 2023년 “위헌·위법 소지가 있으니 폐지하라”는 시정명령을 거부하다 형사 입건되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같은해 기아 노사는 해당 조항을 삭제하며 논란이 일단락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