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의 여파로 이달 들어 주택담보대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14일 금융계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11일 기준 763조 702억 원으로 지난달 말 대비 1717억 원 늘었다.
가계대출은 올해 2월부터 상승세로 돌아선 뒤 지난달까지 월평균 4조 원씩 늘었는데 이달 초인 점을 감안해도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월초 흐름이 월말까지 유지된다고 단순 가정하면 이달 가계대출 증가 폭은 1조 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
가계대출이 크게 꺾인 것은 그동안 전체 대출 증가세를 견인해온 주담대가 마이너스를 보인 것이 원인이다. 주담대는 이달 11일까지 전월 대비 524억 원 줄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는데 이달 이례적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신용대출은 이달 1823억 원 증가했다.
이는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의 효과가 이달 들어 본격적으로 나타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 당국은 6·27 대책을 통해 수도권·규제지역에서 주택 구입 목적의 주담대 최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했다. 규제 발표 전 급증한 대출 계약은 2개월가량 시차를 두고 지난달까지 잔금 대출이 이뤄졌다. 잔금 대출이 마무리된 이달부터 주담대 둔화세가 가시화한 것이다.
정부가 하반기 은행별 대출 한도를 반 토막 낸 점도 대출 상승세를 꺾은 요인이다. 은행들은 줄어든 대출 목표를 맞추기 위해 모집인 대출을 중단하는 등 대출 문턱을 바짝 높였다. 정부가 6·27 대책에 이어 최근 추가 대출 규제를 내놓은 만큼 가계대출 안정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 당국은 이달 7일 부동산 공급 대책을 발표하며 수도권 1주택자가 받아갈 수 있는 전세대출금을 최대 3억 원에서 2억 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서울 강남·용산 등 규제지역의 대출 한도 또한 집값의 최대 40%로 조였다.
시장에서는 대출 억누르기가 이어지면 실수요자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얘기가 새어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서울 강북 지역 상급지를 노리는 중산층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불만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