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훈 에이피알 대표가 “인류의 노화를 극복하는 일을 30년 대계로 삼고 새로운 도약을 준비 중”이라며 “5년 내 전세계 안티에이징 분야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대표는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마존 뷰티 인 서울 2025' 행사에서 앞으로의 비전을 묻는 질문에 “에이피알은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을 타깃으로 사업을 시작했다”며 “K뷰티를 넘어 글로벌 뷰티 1위 기업으로 키우고, 더 나아가 인류 노화 고민 해결을 목표로 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답했다.
김 대표는 “소비자들이 화장품을 사는 건 피부 고민 해결을 위해서라고 생각해 이에 특화된 브랜드 ‘메디큐브’를 만들었던 것”이라며 “인간의 피부 고민의 궁극적인 끝은 결국 노화인 만큼, 이를 30년 대계로 삼고 5년 내 메디큐브를 안티에이징 분야 1위 기업으로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가장 안티에이징 효과가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화장품에서 시작해 미용 기기로 넘어갔고, 이제는 의료기기를 만들려고 하고 있다”며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하다면 화장품 기업에 국한되지 않고, 바이오 영역으로도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연구개발(R&D)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의학·공학 박사들과도 매일 회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에이피알은 ‘메디큐브’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 ‘메디큐브 에이지알’을 앞세워 올해 시가총액 8조 원을 돌파하면서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제치고 K뷰티 대표주자로 떠올랐다.
김 대표는 메디큐브의 글로벌 흥행에 대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력이 좋은 성과를 낸 것으로 본다”면서 “특히 미국, 일본, 유럽, 중동을 연결하는 실크로드인 온라인 커머스 채널 ‘아마존’에 올라타 글로벌 고객 접점을 넓힌 점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에이피알은 올해 아마존 프라임 기간에 매출 220만 달러를 기록하며 목표(10만 달러) 대비 220% 높은 성과를 달성했다. 신규 고객 역시 기존 대비 8배 급증했다.
그는 K뷰티 브랜드가 전 세계를 무대로 급성장하고 있는 와중에도 산업 전반에 여러 위협이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기술 개발이라는 게 무한할 수가 없고, 어느 순간 정체될 수밖에 없다 보니 K뷰티에 위협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며 “또 경쟁 강도가 너무 심화되면 자기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을 밝혔다.
이어 “저희 뿐만 아니라 다른 K뷰티 브랜드의 가품이 생각보다 많은 점도 우려스럽다”며 “메디큐브 제품이라고 생각하고 구매한 고객이 가품을 사용하고 나서 불만족스러운 경험으로 이어진다면, 브랜드 위협, 더 나아가 K뷰티 자체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