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초가을, 강한 자외선 노출로 피부 질환 환자가 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백반증’이다. 백반증은 피부에 멜라닌세포가 사라지면서 하얀 반점이 생기는 병으로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외관 문제로 심리적·사회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
백반증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면역체계 이상으로 멜라닌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 질환이나 원형탈모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흔하고, 환자 중 15~20%는 가족력이 있다. 과도한 자외선, 피부 외상(상처), 항산화 효소 불균형, 칼슘 대사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문제는 초기에 통증이 없고 반점이 작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반점이 넓어지고 전신으로 퍼질 수 있다. 특히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주변 피부가 그을려 백반 부위가 더욱 두드러진다. 겉보기에 비슷한 피부질환으로는 피부경화증, 백색잔비늘증, 탈색증 등이 있다. 하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르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완벽한 치료법은 아직 없지만 약물치료, 국소 자외선B(UVB) 광선치료, 자가 피부이식 등으로 증상을 완화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무엇보다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햇볕에 민감한 부위는 일광화상이나 피부암 위험이 높으므로 자외선 차단제를 3~4시간마다 바르고, 긴소매 옷을 착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유화정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백반증은 100명 중 1~2명꼴로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라며 “가족력이 있거나 장시간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피부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