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무대로 한 세계적 미술축제인 ‘2025 바다미술제’가 27일부터 11월 2일까지 부산 다대포 일원에서 열린다. 1987년 시작된 바다미술제는 ‘열린 바다’를 전시장으로 삼는 전 세계적으로 드문 형태의 전시로 부산시와 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가 주최·주관한다.
올해 주제는 ‘언더커런츠(Undercurrents): 물 위를 걷는 물결들’로, 수면 아래 보이지 않는 흐름과 생태적 리듬을 통해 공존과 생존의 의미를 재조명한다.
6년 만에 다대포로 돌아온 이번 전시는 다대포해수욕장, 고우니 생태길, 몰운대 해안산책로뿐 아니라 버려졌던 옛 다대소각장·몰운커피숍을 새 전시장으로 탈바꿈시켜 주목받고 있다. 소각장은 기후위기 메시지를 담은 체험형 공간으로, 옛 커피숍은 시민 교류의 장으로 재구성했다.
전시는 김금화와 베르나 피나 두 감독이 공동 기획했으며 국내외 17개국 23팀(38명)의 작가들이 46점을 선보인다. 국내에서는 김상돈, 이진, 조형섭, 최원교, 오미자(팀) 등이 참여하고 해외에서는 독일의 플라스티크 판타스티크, 칠레의 세바 칼푸케오 등 다채로운 작가진이 이름을 올렸다.
전시 외에 어린이 워크숍, 시민참여형 체험 프로그램, 지역 원로 여성들과 함께하는 퍼포먼스, 세계 석학들의 강연 등 풍성한 프로그램도 선보인다. 모든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일부 체험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이 필요하다.
박형준 시장은 “바다미술제는 다대포의 매력을 국제적으로 알리고 부산을 글로벌 문화도시로 도약시키는 축제”라며 “앞으로도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