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인공지능(AI) 대전환이 대한민국 변화의 적확한 방향성이라는 데 공감대를 나타냈다. 또 산업 대전환을 위해서는 인재 확보, 금융, 전력망 등 인프라 확충이 동반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경제 미래컨퍼런스 2025’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이 가야 할 길은 AI 혁신을 통한 산업 대전환”이라며 “인재, 금융, 경제 패러다임 등 세 가지의 근본적인 대전환을 이뤄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인재를 길러내고 다시 돌아오게 하고 해외 인재를 유치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며 “노력과 성과에 대한 확실한 보상 시스템이 마련될 때 청년은 창업과 도전의 기회를, 기업은 성장의 토양을, 일하는 사람은 정당한 보상을, 국민 모두는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투자 중심 금융으로의 전환을 통한 정책금융의 혁신도 이뤄져야 한다”며 “산업은행은 정책금융기관을 넘어 첨단산업 투자 주체로, 한국투자공사는 국내외를 아우르는 글로벌 투자 금융의 핵심 주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 경제는 여전히 불신에 갇혀 있다”며 “협력 경제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동 국민의힘 정책위 부의장도 축사에서 “AI 대전환은 이 시대의 적확한 주제”라며 “AI는 곧 전기라는 말이 있을 만큼 에너지가 엄청나게 소요되는데 에너지 수급이 분명하게 해소돼야 대전환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 대전환과 산업 대전환에서 고려해야 하는 것은 일자리”라며 “미래형 일자리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지만 과거의 일자리도 충분히 지켜줘야 한다”고 밝혔다.
김 부의장은 “정치가 과도하게 AI나 산업, 시장과 과학에 너무 많이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의식이 있다”며 “에너지도 그중 하나였던 만큼 과학적인 부분에 정치 개입을 최소화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