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가 다가온 가운데 국내 일부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중국 전통 의상인 ‘한푸’가 함께 노출되는 사례가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유명 온라인쇼핑몰에서 ‘한복’을 검색했더니 ‘중국 스타일 한복’으로 표기된 상품들이 다수 나타났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이러한 검색 결과가 사실상 ‘한복’과 ‘한푸’를 동일하게 다룬 것이라며 “어이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누리꾼들 역시 "중국풍 의상을 판매하지 말라는 얘기가 아니라, 두 의상이 엄연히 다른 만큼 명확히 구분해 표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해당 온라인몰 측은 '우리는 단순히 플랫폼을 제공할 뿐'이라는 입장을 취했지만, 한복-한푸 문제가 한국과 중국 사이의 민감한 문제인 만큼 자체 모니터링과 관리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최근 몇 년간 중국 누리꾼들은 ‘한복이 한푸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을 계속 내세워 왔고, 중국 포털 바이두 백과사전에는 한복이 ‘조선족 복식’으로 소개돼 있다. 과거 샤오미의 스마트폰 배경화면 스토어에서도 한복을 ‘중국 문화’로 표기해 거센 반발을 산 바 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한복의 세계적 위상을 높이는 노력만큼 국내에서 발생하는 한복 관련 오류를 바로잡는 일도 중요하다"며 "국내 쇼핑몰들이 신속하게 시정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