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펜티엄 3 프로세서가 출시되면서 인텔의 주도하에 진행되던 차세대 램버스D램과 펜티엄 3 프로세서 솔루션은 i820칩셋 리콜사건과 함께 큰 타격을 받고, 최고 클럭경쟁에서 경쟁사 AMD에게 밀렸던 적이 있었다. 이런 상황은 최초의 1GHz대 프로세서 봉에 AMD가 깃발을 꽂으면서 정점에 도달하는 듯했다. 하지만 인텔은 이러한 위기를 딛고 2001년에 제조한 펜티엄 4 프로세서로 다시 프로세서의 선두로 굳건히 자리를 잡았으며, 2002년에도 더욱 발전된 프로세서와 반도체 칩으로 컴퓨터뿐만 아니라 통신 등 여러 분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세계 최고 성능의 프로세서
인텔은 1971년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출시한 이래 6천여 명의 연구개발 전문인력을 바탕으로 현재 펜티엄 4 프로세서 2.8㎓를 출시했다. 인텔코리아 김명찬 사장은“최신 펜티엄 4 프로세서를 인텔의 최신 칩셋 및 운영시스템과 결합해 사용하면 컴퓨터가 다양한 작업에 있어 보다 나은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며. 소비자는 이전 사양의 컴퓨터에서보다 사진 스캔을 세 배나 빠르게 할 수 있고, 사진 편집은 네 배 이상 더 빠르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펜티엄 4 프로세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뛰어난 소비자용 및 비즈니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경쟁사 제품보다 한발 앞서는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인텔 코리아는 제품기술력과 인지도의 우위를 앞세워 마이크로 프로세서 시장점유율 80%이상으로 이 부분 1위를 굳게 지키고 있다.
또한 인텔코리아는 올해 7월 서버용 프로세서인‘아이테니엄 2’를 출시했다. 아이테니엄 2 프로세서는 기존의 유닉스 서버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PC서버보다 월등한 성능을 지원. 인터넷 기업과 중견 기업의 서버용 제품으로 엔트리급 서버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인텔 아이테니엄 2를 적극 지원하던 한국 HP외에도 LG IBM과 삼성전자도 곧 이 프로세서를 장착한 기업용 서버를 출시할 예정이어서 아이테니엄 2를 사용하는 기업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통신시장 입지강화
최근 급상승하고 있는 개인정보단말기(PDA)와 휴대폰 등 통신시장에도 인텔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인텔의 PDA용 프로세서인 X스케일과 플래시메모리 등 무선통신 및 휴대폰 관련 제품들의 매출이 전체 매출의 20%대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인텔측은“우리 회사가 설계한 제품이 최근 전세계 PDA 및 휴대폰 업체들 사이에 기대 이상의 반응을 얻고 있다며, 최근 전세계에 공급되는 컬러 휴대폰이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되면서 플래시메모리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도 최근 인텔의 통신분야 매출증가를 떠받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텔코리아는 이동통신분야의 선두자리에 있는‘노키아(Nokia)’의 플래시메모리의 핵심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KT의 무선인터넷‘네스팟’에 인텔의 X스케일 기반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국내 100여 개의 통신업체와 PDA업체가 인텔칩을 채용. 한국 통신업계에서도 인텔코리아의 점유율이 늘어나고 있다.
차세대 PC플랫폼
최근 인텔코리아는 노트북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해줄‘배니아스(Banias)’라는 새로운 차세대 PC플랫폼이 출시될 것을 밝혔다. 내년 초에 출시될 이 제품은 더 길어진 배터리 수명과 향상된 기능, 작고 가벼운 크기 및 간단하고 편리한 네트워크 연결 기능에 중점을 두어 개발된 플랫폼으로 요즘같이 작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노트북 PC에 최적의 효과를 줄 것으로 보인다.
인텔 모바일 플랫폼 그룹의 부사장인 아난드 찬드라세커(Anand Chandrasekher)는“배니아스 플랫폼을 채택한 노트북PC는 작고 날렵하며 다양한 모양을 갖게 되는 한편, 사용이 간편하고 성능이 뛰어난 최첨단의 무선 기능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배니아스 플랫폼은 저전력, 고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처음부터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됐으며, 기타 플랫폼 요소들을 결합해 최대의 무선 이동성이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무선환경에서의 사용 편리성과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재 여러 기업들과 공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텔코리아는 올해 4/4분기 정도에 펜티엄 4 프로세서 3㎓를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KT의 무선인터넷‘네스팟’과 공동 마케팅을 벌여 통신분야에도 인텔의 제품인지도를 강화해 최근 폭발적인 증가세에 있는 통신시장에도 앞서 나갈 것을 다짐했다.
한수진기자popsci@sedaily.com
인텔 데스크탑 PC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사
1971년: 4004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이 개발한 4004는 세계최초로 상용화된 마이크로프로세서였다. 이 놀라운 제품은 비지콤의 계산기를 작동시키는 핵심이 되었고 PC는 물론 생명이 없는 물체에 지능을 부여하는 길을 열어주었다.
트랜지스터 수: 2,300개 속도: 108KHz
1974년: 8080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의 8080은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인 알테어(Altair)의 두뇌가 되었다. 컴퓨터를 취미로 즐겼던 사람들이 알테어를 395달러에 샀다. 몇 달만에 수 만대가 팔렸고 역사상 최초로 주문이 밀린 PC였다. 트랜지스터의 수: 6,000개 속도: 2MHz
1978년: 8086과 8088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8088을 IBM에 판매하여, 인텔8088이 IBM의 새로운 히트 상품인 IBM PC의 두뇌로 자리 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트랜지스터의 수: 29,000개 속도: 5MHz, 8MHz, 10MHz
1982년: 286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80286으로도 알려져 있는 286 은 그 이전에 나왔던 프로세서들을 위해 만든 모든 소프트웨어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최초의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였다. 트랜지스터의 수: 134,000개
속도: 6MHz, 8MHz, 10MHz, 12.5MHz
1989년: 486 DX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486 프로세서 세대는 명령어를 일일이 타이핑하던 컴퓨터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는 컴퓨터로의 전환을 뜻하는 것이었다. 486 프로세서는 복잡한 수학적 연산 기능들에 대한 부담을 중앙 프로세서로부터 덜어줌으로써 컴퓨팅 속도를 빠르게 하는 수학 계산용 보조프로세서(Math Co-processor)가 탑재된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였다.
트랜지스터의 수: 120만개
속도: 25MHz, 33MHz, 50MHz
1993년: Pentium 프로세서
310만개의 트랜지스터를 내장한 Pentium 프로세서는 컴퓨터가 음성, 소리, 친필, 사진 이미지 등의 현실세계 데이터를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들을 갖추었다.
트랜지스터의 수: 310만개 속도: 60MHz, 66MHz
1997년: Pentium II 프로세서
750만개의 트랜지스터를 내장하고 있는 Pentium II 프로세서는 비디오나 오디오, 그래픽 데이 터들 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특별히 디자인된 인텔 MMX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이 제품은 혁신적인 싱글 에지 콘택트 (Single Edge Contact) 카트리지 형태로 소개되었고 고속 캐시 메모리 칩을 내장하고 있었다. 트랜지스터의 수: 750만개
속도: 200MHz, 233MHz, 266MHz, 300MHz
1999년: 셀러론 프로세서
특정 시장을 목표로 한 프로세서 들을 개발하면서, 인텔 셀러론 프로세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보급형 PC시장을 겨냥해 디자인되었다. 이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우수한 성능을 예외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게 되었으며 게임이나 교육적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였다. 트랜지스터의 수: 제1세대 제품은 750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장착하고 있었고 현재의 1.2 GHz 버전은 4,400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장착하고 있다.
속도: 제1세대는266MHz였고 오늘날의 속도는 500MHz부터 1.1GHz에 이른다.
1999년: Pentium III 프로세서
펜티엄 III 프로세서는 0.25마이크론 의 선폭을 가진 회로를 가지고 있다. 이 제품은 70개의 새로운 인터넷 스트리밍 SIMD 확장 명령어들을 갖추고 있어 이미징, 3D, 스트리밍 오디오, 비디오 및 음성인식 어플리케이션 등의 성능이 극적으로 향상되었다. 트랜지스터의 수: 950만개
속도: 650MHz에서 1.2GHz까지
2000년: Pentium 4 프로세서
펜티엄 4 프로세서는 4,200만개에 달하는 트랜지스터와 0.18마이크론 의 회로선을 사용했다.
인텔의 첫번째 프로세서인 4004가 108 KHz에서 작동되었던 것에 비해 펜티엄 4 프로세서는 최초의 제품이 1.5GHz의 속도를 갖고 있었다.
펜티엄 4 프로세서 기반의 PC 사용자들은 전문가 수준의 영화를 제작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TV와 같은 비디오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실시간 비디오와 오디오로 대화할 수 있고, 3D그래픽을 실시간으로 제작하거나, MP3 플레이어를 위한 음악을 빠른 속도로 내려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여러 개의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운용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수: 4,200만개
속도: 1.3GHz, 1.4GHz, 1.5GHz, 1.7GHz, 1.8GHz 그리고 2GHz가 2001년 8월에 발표되었다.
현재 2.8GHz가 발표되었고 올해 말에 3GHz가 발표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