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먼 훗날 화가인 산드는 다빈치의 다리 모형을 본 순간 이 설계는 반드시 현실화 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졌다. 결국 그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다리를 현실화할 계획을 세웠다. 산드는 바로 노르웨이의 공공도로국으로 가서 교량건설에 대한 제안서를 제출했다. 재정상의 이유로 다리 규모는 축소해야 했지만 그 결과 노르웨이의 오슬로에서 약간 벗어난 아스지방에 다빈치가 당초 설계한 240미터의 석조다리 대신 라미네이트 처리된 소나무 목재의 100미터길이의 다리가 탄생했다.
어쩌면 이 다리가 주는 가장 큰 놀라운 점은 다빈치의 설계가 아니라 현대적인 외관일 것이다. 어떤 이는 이 다리를 두고 ‘미래를 제시하는 다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화가인 산드는 이 다리의 설계가 완전히 수학에 기본을 두고 있다고 풀이한다.
산드는 “수학과 기하학은 시간을 뛰어넘는 학문으로 완성된 다리는 모두 다빈치의 설계를 따랐다”고 밝혔다. 하지만 어떻게 아치하나로 다리를 놓을 수 있을까. 열쇠는 팽팽하게 당긴 화살을 뜻하는 ‘pressed bow’공법에 있다. 이 교량은 넓은 범위에 걸쳐있어 강한 돌풍에도 견뎌낼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