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도시 대구를 이끌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 기본계획 수립용역 최종 보고서가 최근 발표되면서 인력 및 예산 운용과 향후 파급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먼저 인력과 관련해 보고서는 정부 인건비 지원에 의한 연구인력을 올해 50명에서 매년 충원, 2014년에는 연구부문에서만 유동인력 500명을 포함해 모두 1천명 규모로 예상했다.
특히 2008년에는 전담 교수진 20명을 임명해 학사기능을 확보하고 수탁 연구 확대 등을 통해 자체 수입에 의한 연구인력을 2006년 80명에서 점차적으로 500명까지 채용할 계획이다.
교육기능을 갖출 경우 학사부문 학생 수도 산업체 연수생 400명을 포함해 모두 1천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지역대학들과의 산·학·연 대학원 설치계획에 따른 것으로 연구 수행기능뿐만 아니라 전문인력 양성까지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요 예산과 관련, 보고서는 총 1조733억원의 재원을 중앙정부 5천364억원, 지방정부 1천790억원, 민간출연 350억원, 자체수입 3천268억원으로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조기에 연구개발 경쟁력을 확보하고 연구수탁을 확대해 2014년에는 60%에 해당하는 예산을 자체적으로 충당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초기 중앙정부의 집중적 예산 지원 구도에서 지방정부의 지원 비중을 점차늘려 2014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원조달 비율을 70 대 30 정도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DGIST 설립 사업에 따른 파급효과로는 향후 10년간 약 2조65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업종별 부가가치 창출규모는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1천144억원을 비롯, 석유 화학고무제조업 312억원, 전력가스수도업 243억원, 기계장비제조업 160억원, 1차 금속 및 금속제조업 114억원 순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총 2만985명에 달하는 고용 유발효과도 기대되고 있는데 이는 주로 1차 금속 및 금속, 기계장비, 정밀기기, 건설, 도소매 분야 등에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보고서는 사업의 이행과정에서 본연의 목적인 연구사업에 치중하게 되면 대구지역경제에서 지식집약서비스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이같은 야심 찬 계획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문제가 예상된다.
당장 가시화돼야 할 정부의 국고지원 문제가 관건이다.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아무 것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함께 보고서에 제시된 산·학·연 대학원 설치여부도 이 사업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변수다. 기존의 지역 대학들은 이를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얼마나 우수한 업체들이 입주하느냐도 장차 큰 과제일 것이다.
현재 이렇다 할 큰 비전이 없는 대구.경북 입장에서는 모처럼 시도된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의 성공적인 조성과 정착을 위해 지방정부는 물론 정계·학계·경제계 등 관계 기관들이 한 목소리로 뭉쳐 각종 난관을 헤쳐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