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총리는 일단 이공계 출신의 대학 총장을 역임한 데다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원만한 관리능력을 보여준 만큼 중책을 무난히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과학계와 관가 안팎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특히 지난해 8월까지 1년6개월 동안 비서실장으로 재직하면서 파열음없는 합리적 관리능력을 발휘하는 경륜을 보여 향후 부총리급 부처를 이끌어가는데도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게 관가 주변의 관측이다.
김 부총리는 또 지난해 8월 퇴임 기자회견때도 스스로 “대통령과 얘기하면서 얼굴을 붉힌 적도 2∼3차례 있었다”고 밝힐 정도로 직언을 서슴지 않는 소신파여서 지금처럼 민감한 시기에 오히려 적절한 수장이라는 지적도 흘러나온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공계 출신의 대학총장 경력 등 과기부에 어울리는 그간의 풍부한 경륜을 미뤄볼 때 부처를 무난히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반응과 기대가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제 과학계에 엄청난 파문을 몰고 온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2005년 사이언스 논문조작과 이후의 국내 과학계의 실추된 위상 회복 등 결코 만만치 않은 현안들이 기다리고 있어 상황이 그리 녹록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당장 오는 10일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황 교수의 논문 조작사건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이어 검찰 수사가 이어지는 등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황 교수의 논문 조작사건 이후 끝없이 추락한 과학계의 신뢰와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정책 마련이 뒤따라야한다는 목소리도 높은 상황이다.
김 부총리는 우선 황 교수의 논문조작과 같은 유사사건 재발 방지대책과 연구비 재조정, 과학계의 사기 진작책, 이미지 회복 등의 다양한 현안을 서둘러 해결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또 대외적으로는 과기부가 숙원사업으로 추진해온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 배출사업’이 러시아의 사정으로 일정 조정이 불가피하게 된 상황 등도 적잖은 고민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우식 과학기술부총리 내정자
직언 서슴지 않는 소신파… 정책조율 능력 탁월
김 신임 부총리 내정자는 지난 57년 강경상고를 졸업한뒤 연세대 화학공학과를 나와 삼호방직을 거쳐 연세대 화학공학과 교수로 학계에 입문한뒤 지난 2004년부터 2005년 8월까지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일했다.
김 전 비서실장은 지난 8월 청와대를 떠날때도 “문책성이 아니라, 대통령과 충분히 교감을 나누고 결정된 일”이며 “김 실장은 재임기간 노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보수쪽 인사들까지 포함, 사회각계에 알리며 대통령을 보좌하는데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