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7월 과학기기 장비코너

비접촉식 단백질칩 제조장치(CM-2000) - 한국기술산업

● 비접촉식 단백질칩 제조장치(CM-2000) - 한국기술산업

차세대 바이오칩인 단백질 칩을 제조하는 첨단 장비가 순수 국내기술에 의해 개발 시판된다. 이 제품(CM-2000)은 한국기술산업 계열사인 바이오벤처기업 프로테오젠이 차세대성장동력 단백질 칩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년여간의 연구개발 기간을 통해 공동 개발됐다.

이 제품은 단백질 칩 제작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단백질 칩 전용 제작 장비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CM-2000은 4채널 분주형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칩 제작 속도가 4배로 향상됐고 다른 장비에 비해 편리하고 균일한 단백질 칩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정밀로봇기술, 카메라를 이용한 정밀 위치제어기술, 소형펌프를 이용하는 시료분주 기술 등이 접목되어 단백질 칩을 장비 내에서 세척하는 기능을 세계 최초로 내장하고 있다.

CM-2000은 이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에서 3개월간의 실사용자 테스트 결과 세계시장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 받았으며, 1억원을 호가하는 일반적인 바이오칩을 제작하는 외국제품들보다 성능과 기능면에서 탁월하고 가격경쟁력도 우수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한국기술산업은 BINT 사업의 일환으로 비표지형 바이오 칩 분석장비를 개발 중에 있다. 이 시스템(모델명 CA-1000)은 프로테오젠과 함께 핵심 회로설계를 마치고 성능 실험 중에 있으며, 관련 특허출원도 해놓은 상태이다. 이 제품은 단백질 칩 사업의 핵심기술 중 3번째 단계인 단백질 분석기술에 해당한다.

이 제품이 상용화되면, 프로테오젠은 단백질 칩 사업에 필요한 모든 핵심기술과 시스템을 모두 독자적으로 보유하게 되면서, 단백질 칩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40억달러 규모에 달하는 바이오 칩 세계시장과 홈케어 시장 진출에 있어 전망을 밝게하고 있다.

한국기술산업의 이문일 사장은 “바이오 분야에서 착실하게 원천기술과 핵심사업 역량을 축적해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이 아닌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한편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단백질 칩의 핵심 기술은 단백질을 칩 표면에 고정화 시키는 고정화 기술, 단백질을 정밀하게 배열하여 단백질 칩을 만드는 제조기술, 마지막으로 단백질 칩을 통해 질병진단을 해 내는 분석기술로 구성되는데, 프로테오젠이 출시하는 CM-2000은 단백질을 정밀하게 배열하여 단백질 칩을 만드는 단백질 칩 제조장치이다.

단백질 칩 제조장치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크게 나누어 지는데, DNA 칩 제조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는 접촉식은 제조가 용이하고 고집적의 칩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단백질 분석을 위해 여러 번 접촉할 경우 단백질의 활성을 잃게 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비접촉식 제조장치의 경우 개발 및 제조가 어렵고 장비가 고가이나 단백질 분석이 종료될 때까지 단백질의 활성을 유지시켜 정밀한 단백질 분석에 사용된다.

단백질 칩은 특정단백질과 반응할 수 있는 항체 등의 단백질을 고형기판에 고밀도로 고정화한 것으로 단백질의 분리, 확인 정량 및 기능 해석에 이르는 일련의 단백질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적은 량의 시료로 보다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최신 기술로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의 바이오칩 분야에 속한다.

www.koreati.com TEL: 02-801-1300

● 확장성이 뛰어난 SAN 테스트 시스템

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는 업계에서 확장성이 가장 뛰어난 디렉터 클래스 스위치용 광섬유 채널 SAN 테스트 시스템 ‘SAN 디렉터 테스터’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높은 포트 카운트 시스템 테스트 비용을 크게 절감시켜준다는 점이 특징이다.

디렉터 클래스 스위치는 SAN(Storage Area Networks) 내에서 그리고 SAN 간에서 가장 높은 로드를 전달하기 때문에 이 스위치는 필수적으로 모든 네트워크 상태에서 견고해야 하며 비블로킹 전체 라인 속도 성능을 제공해야 한다.

기존 테스트 방법에서는 트래픽 생성을 위해 많은 PC 컨트롤러 또는 ‘PC 벽’을 사용해 디렉터 클래스 스위치에 응력을 가하며, 중앙 집중식 보기에서 모든 PC의 작동을 통합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한 일반 PC는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 제한으로 인해 와이어 속도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디렉터 스위치의 포트 속도가 4Gb/s로 증가하면서 실제 조건에서의 테스트는 훨씬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애질런트 SAN 디렉터 테스터는 128개의 포트에서 동시적으로 4Gb/s의 트래픽 생성이 가능한 업계 최초의 테스터이다. 중앙 집중식 멀티포트 제어판을 제공함으로써 1733L SAN 디렉터 테스터는 테스트 셋업, 실행 및 분석을 단순화하여 테스트를 훨씬 빨리 완료할 수 있다.

시스코의 기술 마케팅 엔지니어 Chris Bischoff는 “시스코는 스토리지 디렉터에서 테스트를 실행할 때 가장 견고한 테스트 장비를 원했다. 따라서 실제 조건을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와이어 속도에서 테스트하는 기능은 아주 중요하다”라며 “당사 성능 테스트에서 신형 Cisco MDS 9513 Multilayer Director는 애질런트 SAN 디렉터 테스터를 사용했을 때 프레임 크기와 관계없이 실제 4Gb/s의 와이어 속도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신형 디렉터 테스터는 이전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 테스트 비용을 6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SAN 디렉터 테스터는 유지보수 및 운영 비용도 절감하기 때문에 디렉터 스위치를 테스트하는 기존 방법보다 훨씬 비용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평가된다.

애질런트 디지털 검증 솔루션 사업 본부장 Siegfried Gross는 “SAN 디렉터 테스터는 확장성 테스트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했다”라고 말하면서 “애질런트가 테스트 솔루션을 계속해서 개선하면서 제품 개발, 제조 및 배송 주기 전체에 걸쳐 고객에게 항상 적합한 툴을 지원한다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www.agilent.com TEL: 1588-5522

애질런트 SAN 디렉터 테스터

● 128개 포트에서 동시에 4Gb/s의 전체 라인 속도의 데이터 트래픽 생성
● 모든 포트로부터 처리능력, 지연시간 및 오류 통계를 비롯한 결과 동시 수집
● 직관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포함
● 실제 네트워크 로드 및 장애 조건 제공을 통한 디렉터 스위치의 견고성 테스트
● 여러 개의 자동화 테스트 스크립트 제공을 통한 품질 검증주기 가속화 및 출시시기 단축

● ‘IN Cell Analyzer 1000’ 세포 영상 시스템

최근 제약산업분야에서 임상실험 테스트를 위한 화학물의 수가 많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에 바탕을 둔 세포 분석이 효과적인 치료약 발견 및 개발을 위한 신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많은 합성물들은 세포내에서 세포와 세포소기관의 형태, 분자의 분포에 대한 미세하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유도하는데, 이런 현상을 감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이 바로 고해상도 형광 현미경(High Resolution Fluorescence Microscopy)이다.

형광현미경은 세포내부로 들어간 형광 probe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인식함으로써 유용한 정보를 가진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미지의 품질은 공간과 시간적인 해상도에 의존하는 형광 세포분석방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효율적인 이미지 분석 방식은, 또 다른 중요한 요소로서 이미지 내에서 대조군과의 중요한 특징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형태, 위치 및 신호강도의 변화를 정량 할 수 있다.

GE Healthcare Bio-Sciences가 제공하는 IN Cell Analyzer 1000은 다양한 fixed & live cell assay에서 multi-color image와 high-resolution image를 만들 수 있으며, cellular & sub-cellular imaging에서 생물학적으로 의미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동화된 high content screening(HCS) 장비이다.

장비내의 laser-based autofocus confocal system과 고해상도 CCD 카메라는 연속적인 multi-color 이미지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2 color assay를 위해서 96 well plate는 5분, 384 well plate는 15분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요구에 따라 temperature control, liquid handling, transmitted light, microscope slide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fixed & live cell의 분석이 가능한 confocal system(Optical Z-section)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IN Cell Analyzer로 하여금 세포내의 특정 위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선택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3-D reconstruction도 가능하다.

IN Cell analyzer는 다양한 종류의 pre-developed 소프트웨어들과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인 ‘Developer toolbox’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목적에 맞게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다양한 세포의 변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스크리닝 할 수 있다. 최근에 가능하게 된 이미지 분석 방법에는 multiple image channel로부터 만들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내에서 세포의 움직임을 개별적으로 정량 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cell-by-cell 분석을 통해 cell subpopulation을 관찰할 수도 있다. GE Healthcare Bio-Sciences는 IN Cell Analyzer 1000과 다양한 분석 소프트웨어들 외에도 cell signaling, receptor internalization, gene-reporting cell cycle analysis와 cell proliferation과 같은 다양한 cellular analysis를 위한 reagents와 약 50가지의 adenovirus kit를 제공함으로써 cell-based screening을 이용한 신약개발과 cell biology research분야에서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최상의 high-content cell-based screening technology를 제공하고 있다.

www.amershambiosciences.co.kr TEL: 02-6201-3700

● 진피싱(GeneFishing) 키트

유전자 발굴 및 진단전문 벤처기업 씨젠(대표 천종윤)이 개발한 세계 최초 질병원인 유전자 시약 ‘진피싱(Gene Fishing)키트가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이 제품은 정상세포와 특정 암세포에서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어서 암유전자 분석에 이용할 수 있으며, 유전자 치료 시 치료 효과나 신약의 효능을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수도 있다.

‘진피싱 키트’는 노벨상을 수상한 분자생물학의 핵심기술인 PCR(유전자증폭) 기술과 씨젠이 발명하여 국제특허를 획득한 ACPTM(Annealing Control Primer)라는 원천기술을 복합적으로 응용한 제품이다.

지난 2004년 첫 출시된 이후 2005년 780%의 매출성장을 달성했으며, 세계적인 화학, 바이오 기업인 미국의 시그마 알드리치사에 기술이전하여 2006년부터 로열티 수입이 예상되며, 2006년4월 산업자원부로부터 신제품(NEP) 인증도 받았다.

최근 시판 중인 성병원인균 유전자 검사 제품은, 감염 초기 검사가 가능하며, 6종을 동시에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서, 출시 2개월 만에 국내 시장의 약80%를 석권함으로써 엄청난 수입대체효과를 얻고 있다.

씨젠은 영국 옥스퍼드대학과 조류독감(H5N1) 유전자 진단제품 및 타미플루(조류독감 치료제)내성 바이러스 유전자 진단제품 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는 14만 달러 규모의 식물병원체 유전자 진단제품 개발 및 수백만 달러 규모의 바이러스 유전자 진단제품 개발에 관한 제안을 받아 연구개발 중에 있다.

씨젠은 세계적인 약품회사인 시그마 알드리히(Sigma-Aldrich)사와 기술계약을 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미국에서 제품이 생산쪾판매하고 있다.

기술표준원은 이 기술이 활성화돼 유전자분석 시장에 본격 적용될 경우 2조원대로 추정되는 세계 유전자 증폭쪾분석시장 등의 점유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천종윤 대표는 “최근 국내외 대학, 병원 및 정부연구기관으로부터 수십 건의 유전자 발굴, 분자진단 제품개발을 의뢰 받아 연구개발 중”이라며 “한국을 세계 최고의 분자 질병진단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www.seegene.co.kr TEL: 02-2240-4000

● ACP 기술이란?

Annealing control primer(ACP)는 기존 PCR 증폭기술에 고도의 정확성과 응용력을 접목시킨 전문기술이다.

PCR증폭기술은 극소량의 유전자 발현을 증폭시켜 눈에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PCR증폭기술이다. 이 PCR증폭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3가지는 주형의 선택(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부분), DNA 합성효소 (증폭물질을 복제하는 효소), 시발물질(원하는 유전자 부위에 결합하는 물질)이다.

현재 좀 더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증폭결과를 얻기 위해 주형 및 DNA합성효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시발물질인 프라이머(Primer)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ACP 기술은 바로 이 프라이머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서 PCR기술에서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여주는 세계 최초의 획기적인 기술이다.

● 저가형 프로토콜 분석기 PCI Express Analyzer

시리얼 데이터 테스트 솔루션의 선두업체 르크로이코리아(지사장 이운재)가 저가형 프로토콜 분석기인 PCI Express Analyzer의 신제품을 출시했다.

새로운 PETracer™ Edge는 르크로이 PCI Express Analyzer의 4번째 제품으로, 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고, 2.5 GB/s 속도에서x1/x2/x4을 지원한다.

이 제품은 르크로이의 PETracer ML과 EML 플랫폼에 적용되는 동일한 응용분야를 지원한다. PCI Express 응용분야는 지리적인 이유로 혹은 시장을 세분화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 때문에 예산 투자에 많은 제약이 뒤따랐었다.

그동안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PCI Express 분석기를 찾아온 서버, 워크스테이션, 데스크톱, 그리고 PC 주변기기 카드 개발자들은 엣지 분석기가 제공하는 유연성에 제공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엣지 프로토콜 분석기는 프로(PRO)와 엑스퍼트(EXPERT)의 2가지 버전으로 제공된다. 프로 사용자는 저렴한 가격의 이점과 함께 모든 필요한 기능을 탑재한 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다.

엑스퍼트 사용자는 버스 관리 및 프로토콜 동작 문제와 관련한 에러 해결을 위해 더 자세한 분석이 가능한 고급 기능들을 제공한다. 일례로, 사용자는 주어진 링크에서 발생하는 모든 트랜잭션 및 패킷과 관련하여 버스 출력과 링크 활용 등과 같은 다양한 통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PETracer Edge Analyzer의 2가지 버전은 많은 혁신적인 기능들을 제공, PCI Express를 위한 디버깅 시간을 대폭 단축해주고, 제품 출시까지의 기간을 앞당겨준다. 사용자는 강력한 트리거링, 필터링, 에러 리포팅 기능을 활용하여 에러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주석이 곁들어진 보기 및 차트를 통해 논리적이고 연대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가 표시되므로, 쉽게 프로토콜 트래픽을 이해할 수 있다. CRC 재체크함으로써 TLPs(Transaction Layer Packets), DLLPs(Data Link Layer Packets) 그리고 모든 PCI Express 프리머티브 디코딩을 완벽하게 수행해주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데이터를 얻게 된다.

하이레벨에서 낮은레벨의 디코딩까지 싱글 클릭으로 핵심 정보를 표시한다. 가격에 민감한 PETracer Edge 사용고객은 일단 프로 버전으로 시작하고, 추후 엑스퍼트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르크로이의 John Wiedemeier 프로토콜 솔루션 그룹 마케팅 매니저는 “많은 분석관련 업체들은 그들의 개발 업무에 더 많은 분석 기능을 제공받길 원하고 있다”며 . “PETracer Edge는 이를 가능하게 해주며, 더 자세한 분석이 가능한 고급 기능들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한편 르크로이는 시리얼 데이터 테스트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이며 복잡한 전기적 신호에 대하여 빠른 측정, 분석, 검증을 제공하는 제품 혁신을 주도해왔다. 르크로이는 컴퓨터, 반도체, 데이터 저장 기기, 오토모티브 및 산업용 기기, 그리고 항공우주 및 군사용 분야의 디자인 엔지니어들에게 고성능 오실로스코프, 시리얼 데이터 분석기, 글로벌 통신 프로토콜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www.lecory.com TEL: 02-3452-0400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