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늦가을의 정취를 더해주는 이 은행나무 아래를 지날 때면 자신도 모르게 표정이 찡그려지는 경우가 있다. 몇몇 사람들은 멀찌감치 떨어져서 빠른 걸음으로 은행나무 주변을 떠나려고까지 한다.
분뇨에서나 풍겨 나올 법한 은행나무 열매 특유의 고약한 악취 때문이다. 도대체 왜 은행나무는 이처럼 역한 냄새를 풍겨대는 열매를 맺을까.
은행나무 열매는 껍질에 해당하는 외종피와 중종피, 그리고 열매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인 내종피로 싸여있다. 코를 움켜쥐게 만드는 악취는 이 중 외종피에서 내뿜어진다.
이유는 간단하다. 개체 수 증식의 원천이 될 열매, 즉 씨앗을 동물이나 곤충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해서다.
사실 은행나무의 이 같은 자기방어체계는 여러 단계로 구성돼 있다. 1차 관문은 물론 악취다.
하지만 동물(곤충)들이 이 악취를 견뎌냈다고 해도 열매를 먹기는 쉽지 않다. 외종피는 사람이 도구를 사용해도 벗겨내기 힘들 만큼 딱딱한데다 ‘빌로볼(bilobool)’, ‘은행산(ginkolic acid)’ 등 유독 성분이 함유돼 있다. 동물들이 이 성분에 닿으면 옻이 오르는 것과 같은 접촉성 피부염이 유발된다.
설령 이 두 관문을 굳건한 의지로 넘어서고 열매를 먹었더라도 문제는 남아있다. 은행 열매를 다량 섭취하면 복통, 설사, 발열 증세를 일으킨다는 것이 그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