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해수의 양이 증가, 염분 농도가 묽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구 둘레로 열을 운반하며 전 세계의 기후조절에 일조하는 조류의 흐름이 약해지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만약 조류의 움직임에 현저한 변화가 생기면 예측할 수 없는 참혹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엄청난 양의 해양생물과 어류들이 사라지고, 해양이 대기의 온실가스를 제거하는 기능도 감소하게 된다. 특히 일부 과학자들이 우려하듯 북부 유럽에 혹독한 빙하기가 올 수도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라면 멕시코 만류 같은 난류가 적도로부터 유럽으로 열을 실어 나른다. 조류가 열을 방출하면 해수가 밑으로 가라앉아 해저를 따라 적도 지방으로 다시 흘러간다.
하지만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북대서양의 해수 농도를 크게 희석시키면 조류의 원활한 움직임에 차질이 빚어진다. 즉 희석된 해수가 적도 지방으로 향하는 조류의 염분도 및 밀도를 낮춰 바다 밑으로 가라앉지 않게 하는 것.
이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북극에 염분도가 높은 얼음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미국 앨버타 대학 피터 플린 박사의 주장이다. 즉 8,000척의 쇄빙선을 동원해 염분도가 높은 빙하를 만들면 봄이 왔을 때 염분도가 높고 밀도가 큰 해수가 해저 깊숙이 가라앉아 하향성 조류를 활성화하게 된다는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