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은 인간이 던지는 농담을 받아들이거나 인간의 기분을 파악하기 힘들다. 더욱이 인간의 움직임이나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를 갖추지 못한 로봇이라면 바닥에 있는 아기를 밟아버리는 사고를 낼 수도 있다.
하지만 지난 8월 도쿄 대학의 다카오 소메야 박사가 탄력 있는 전도체를 개발함으로서 이 같은 로봇의 문제를 개선할 가능성이 커졌다. 탄력 있는 전도체를 사용하면 로봇에게도 사람과 유사한 인공피부를 장착해 줄 수 있다.
지금까지 금속의 전도성과 고무의 유연성을 완벽히 합친 소재는 개발되지 못했다. 고무의 경우 가장 유연한 물질인 반면 전기를 전달하는 전도성은 빵점에 가깝다. 다카오 박사가 개발한 신소재는 소금 용액과 단조 가능한 단일 벽 탄소 나노튜브를 결합한 것으로서 원래 크기에서 약 134% 확장이 가능하고, 전도성은 570%까지 증진된다.
전기가 통하면서도 유연성을 가진 이 신소재에 각종 센서를 장착하면 압력과 열을 감지하는 로봇용 인공피부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람이 로봇의 어깨를 두드릴 때 그 느낌을 감지하거나 로봇이 사람의 손을 잡을 때 적당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
또한 이 기술을 자동차의 핸들에 적용하면 운전자가 핸들을 쥐고 있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전도성이 감소하지 않으면서도 고무와 같은 부드러움과 유연성을 유지해야 하는 등 개선해야 할 부분은 많다. 하지만 다카오 박사는 향후 5년 이내에 대부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 인공피부를 인간형 로봇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