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홉킨스 병원에서 자궁경부암 생체검사를 위해 채취된 그녀의 세포가 세계 최초의 불멸화된 줄기세포주가 됐기 때문이다. 불멸화된 줄기세포주는 줄기세포주를 구성하는 세포들이 늙지 않고 무한히 분열을 해 영원불멸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실제 헨리에타의 줄기세포주는 지금 이 순간에도 실험실에서 무한히 재생되고 있는 상태다. 물론 존스홉킨스 대학의 성공 이후 또 다른 불멸화된 줄기세포주들이 많이 만들어졌지만 헨리에타의 불멸화된 줄기세포주인 '헬라(HeLa)'는 전 세계 연구실에서 표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생산된 헬라를 이어붙이면 길이가 지구 세 바퀴를 돌 수 있을 정도다.
레베카 스클룩의 저서 '헨리에타 랙스의 불멸의 생애'에는 헬라로 인해 유발된 현대 의학계의 대혁명이 자세하게 다뤄져 있다. 이 책에서 헨리에타에게 감사해야 할 이유를 5가지 뽑아 소개한다.
1 헬라가 만들어지기 전의 과학자들은 세포를 실제로 연구하는 것보다 세포를 살아있도록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하지만 헬라가 무한정 공급되면서 연구에 모든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됐다.
2 1952년은 소아마비가 가장 횡행했던 시기다. 이 때 헬라가 백신 실험에 사용됐으며, 결국 수백만 명의 목숨을 구했다.
3 헨리에타의 조직 표본에서 추출한 일부 세포는 다른 세포와 다르게 움직였다. 이에 과학자들은 그 중 하나를 분리해 복제하는 방식으로 줄기세포주를 만들었다. 이처럼 하나의 세포를 분리시켜 생명을 유지시키는 것은 인간복제와 시험관 수정을 위한 가장 기본적 기술이다.
4 한 연구자가 실수로 헬라의 세포 염색체에 화학물질을 쏟은 일이 있었다. 이후 과학자들은 이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 인간 염색체 수가 기존에 알려진 48개가 아니라 23쌍 46개임을 밝혀냈다. 이로서 현존하는 다양한 유전자 진단법의 기반이 구축됐다.
5 헨리에타의 암세포는 텔로머라아제라는 효소를 이용, 자신의 DNA를 복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암세포들이 정상세포와 달리 영원불멸의 존재로 남을 수 있는 원천이 이 효소의 작용에 있었다. 바로 이 텔로머라아제 효소를 타깃으로 삼아 암을 치료하는 항암제들이 현재 임상시험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