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디지털 애버리진

원주민의 전통악기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 넣은 전자 디제리두

24살의 오스트레일리아 음악가인 카일 에반스는 3년 전 케언스에 있는 작은 악기상점에 들어갔다. 그리고 여기에서 원주민의 전통악기인 디제리두를 샀다. 디제리두는 아주 긴 피리같이 생긴 원주민의 목관악기.

흰개미가 속을 파먹은 유칼립투스 나무의 줄기로 만들며, 취구 부분은 밀랍으로 돼있다. 이 목관악기의 길이는 100~180cm다. 취구 부분은 지름이 3cm, 나팔처럼 생긴 끝부분은 30cm 정도다.

에반스는 악기상점 주인이 만든 디제리두의 연주법을 익히면서 현재보다 더 나은 디제리두를 제작해 보겠다는 결심을 했다. 바로 전자 디제리두를 만드는 것.

전자 디제리두의 본체는 PVC 파이프로 만들어졌지만 유칼립투스 나무의 줄기로 만든 디제리두와 똑같은 소리가 났다. 에반스는 케언스 출신의 한 사람에게 연주법을 배우면서 컴퓨터 합성음악도 배우게 됐는데, 두 소리가 유사한데 주목했다.

그래서 그는 랩톱의 USB 포트까지 동원해 전자 디제리두의 소리와 컴퓨터 합성음악을 합쳐보려고 했다. 하지만 이는 다루기가 너무 힘들었다.

그래서 그는 블루투스 버전을 설계했다. PVC 파이프를 잘라 전자 디제리두의 본체를 만들고, 이보다 더 큰 파이프 조각을 사각형 모양으로 잘라 외부에 덧댔다. 사각형 모양의 파이프 조각 안에는 블루투스 모듈, 토글스위치, 전위차계, 볼륨 조절용 다이얼의 배선이 숨겨져 있다.

연주를 할 때는 일반 디제리두처럼 밀랍을 입힌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분다. 그러면 악기 반대편 끝에 있는 무선 마이크로폰이 소리를 컴퓨터에 전달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이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에반스는 전자 디제리두로 창작곡을 연주 및 녹음하는 것은 물론 여러 곳에서 공개 연주도 할 생각이다.




HOW IT WORKS






●TIME: 3 months
●COST: $300


●제어장치
에반스는 당초 한 손으로 전자 디제리두를 들고 연주하는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 컴퓨터 키보드를 조작했다.



하지만 아무래도 이는 불편했다. 그는 전자 디제리두를 가지고 무대 위에서 연주하고 싶었기 때문에 제어장치를 전자 디제리두에 직접 부착했다. 여기에 달린 토글스위치나 볼륨 조절용 다이얼을 조절하면 블루투스 모듈이 이를 컴퓨터에 전달한다.

그는 다이얼의 회전량을 볼륨 변화로 인식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했다. 이렇게 나온 소리는 컴퓨터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된다.

●본체
에반스의 디제리두는 그가 알고 있는 최초의 전자 디제리두다. 하지만 예전에도 PVC로 디제리두를 만든 사람은 있었다. 그는 인터넷에서 기본적인 제작방식을 배웠다. 우선 PVC 파이프를 원하는 크기로 잘랐다. 그리고 한쪽 끝에 밀랍 마우스피스를 붙이고, 반대편을 가열해 포도주병 위에 대고 눌러 끝을 나팔 모양으로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더 좋은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외형
그가 만든 전자 디제리두는 원래의 외형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에반스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 만든 그대로의 분위기를 내고 싶었다. 그래서 설계도를 직접 그리고 기계식 절단기 대신 쇠톱을 이용해 모든 부속을 만들었다. 색상은 검은색을 칠했다.

●성능
이 전자 디제리두의 길이는 137cm로 일반 디제리두보다 연주하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하다. 대신 연주하는데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편의기능을 달았다. 바로 제어장치를 활용하는 것. 이를 통해 컴퓨터에 신호를 보내면 원래의 디제리두처럼 계속해서 숨을 불어 넣지 않아도 마지막에 입력됐던 음이 계속 연주된다.






문학작품 쓸 때 도움이 되는 5가지 사항

1 시작이 반
시작이 반이다. 공동 집필 사이트인 protagonize.com에 작품 내용을 적고 완성된 이야기를 만들 준비를 하라. 집필을 시작할 준비가 됐다면 다른 사람의 의견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토론에 참가하라.

2 방해 요소 제거
www.hogbaysoftware.com처럼 최소한의 기능만 내장된 워드프로세서로 집중 방해 요소를 없애라. 베테랑 작가들은 불필요한 기능을 최대한 없애고 글을 쓰는 데만 집중한다.

3 에이전트 확보
LiteraryMarketPlace.com에 무료 가입한 후 대형 출판사 및 에이전트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라. 도시별, 장르별 검색도 가능하다. 1주 이용료 20달러 혹은 1년 사용료 400달러를 내면 전화번호, 원고 제출 양식, 직급별 직원 명단 등의 추가 정보도 볼 수 있다.

4 문예지 탐색
'Poets & Writers' 의 웹사이트(pw.org)에서 작품을 온라인으로 제출할 문예지를 찾아보라. 이곳에는 450개가 넘는 소설, 시, 수필 관련 문예지 명단이 있다. 또한 문예 콘테스트와 독서 및 워크숍 관련 정보가 나온 달력도 유심히 살펴보라.

5 저작권 보호
일단 집필을 했으면 저작권을 보호하라. Myows,com은 작품 표절을 막아주는 인증기관이다. 이 사이트의 서버에 작품을 올리면 변조 방지용 일자 스탬프가 찍힌다. 이 사이트에는 저작권 침해소송 및 정지명령용 서식도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