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소리를 질러보지만 범인은 골목을 따라 도망친다. 범인은 도망치다 막다른 길을 만나자 유리병을 꺼내 경찰의 머리를 향해 집어던진다.
경찰은 총을 뽑는다. 하지만 여기에서 법을 집행할 때 가장 까다로운 상황 중 하나인 '역량 공백(capability gap)'이 발생한다. 경찰과 범인 사이의 거리인 10.5~19.5m는 테이저 건의 유효사거리 밖이지만 범인이 던진 물건에 맞아 경찰이 치명상을 입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 직면한 경찰은 살상무기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낀다. 로스엔젤리스의 퇴직한 보안관이자 미 국방부 컨설턴트인 시드 힐은 이렇게 말한다. "역량 공백이 발생한 상황에서 살상 없이 범인을 체포하려면 멀리 떨어진 범인에게 사용할 비 살상무기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산탄총 테이저 건인 XREP와 무선 전기침이다. XREP는 전선으로 연결된 2개의 전기침을 최대 10.5m까지 밖에 날려 보낼 수 없는 기존 테이저 건과 달리 산탄총이라면 어떤 총에서도 최대 30m까지 무선 전기침을 날려 보낼 수 있다. 무선 전기침은 일반 산탄과 마찬가지로 날아가지만 범인에게 명중하면 근육마비를 일으킨다. 힐은 이렇게 말한다. "이 무선 전기침은 일반적인 산탄의 외관 내에 테이저 건의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볼 때 가장 큰 기술적 문제는 무선 전기침의 소형화다. 기존 테이저 건은 2개의 전기침이 범인에게 달라붙어 옷을 관통할만한 5만 볼트의 고압 전류를 흘려보낸다. 반면 무선 전기침은 단 500볼트의 전압만 내보낼 뿐이다. 하지만 무선 전기침은 전압을 높이는 대신 전면부의 대전된 침 4개가 피부를 관통해 인체에 직접 전류를 흘려보낸다.
테이저 인터내셔널의 선임 엔지니어 마크 핸칫은 인체의 중추신경계를 제압하기 위해서는 전압보다 전류의 파형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무선 전기침의 구경은 12게이지며, 중량은 25g이다. 게이지란 산탄총의 구경을 호칭하는 단위. 1게이지는 1파운드의 납을 녹여 탄환을 만들었을 때의 지름을 말한다. 12게이지는 탄환이 12분의 1파운드의 납으로 만들어졌을 때의 지름을 말한다. 파괴력은 게이지의 수치가 적을수록 좋다. 무선 전기침의 총구 초속은 81m며, 전류는 1.3밀리암페어다.
1.산탄총 탄환 형태의 무선 전기침: 산탄총 탄환 형태의 무선 전기침은 어떤 산탄총에서도 발사된다.
A.변압기: 변압기는 배터리에서 나온 전류를 1.3밀리암페어 수준으로 20초 동안 방전한다. 전류의 힘은 비교적 약한 편이다. 가정용 콘센트도 20암페어는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전류의 힘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류가 퍼져나가고 인체의 전기신호와 상호 교류하는 방식이다. 제대로 된 전류 파형만 있다면 범인의 신경체계를 제압할 수 있다.
B.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전류의 강도, 지속시간, 파형 등을 조절한다.
C.배터리: 2개의 리튬 배터리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D.충격 흡수 플라스틱 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전기회로는 충격 흡수 플라스틱 쉘에 둘러 쌓여있어 무선 전기침 발사 및 범인과의 충돌 때 발생하는 힘에 견딘다.
2.무선 전기침: 일단 명중하면 무선 전기침 전면부의 대전된 4개의 침이 피부 속으로 파고들어 약 15cm 폭의 범위에 작고 국소적인 충격을 가한다. 하지만 이는 곧 닥칠 큰 충격의 전주곡일 뿐이다. 충격 때 발생하는 힘으로 여러 개의 핀이 부러지면 전기침의 몸통 부분이 4개의 침이 달린 전면부와 분리,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 매달려 아래로 늘어지게 된다.
3.지느러미: 무선 전기침이 발사되면 꽁무니에서 3개의 지느러미가 펴져 30m 떨어진 표적까지 안정적으로 날아갈 수 있게 해준다.
4.핸드 트랩: 범인은 본능적으로 무선 전기침 전면부에 있는 4개의 대전된 침을 떼어내기 위해 아래로 늘어져 있는 전선을 잡으려고 한다. 하지만 이 전선을 만지면 무선 전기침 전면부의 대전된 침에서 흐르는 전류가 범인의 손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될 경우 손이 오그라들어 전선을 더욱 강하게 잡게 되기 때문에 전선을 놓고 도망갈 수 없다. 그러면 전류가 범인의 몸으로 흘러들어 20초간 마비 증세를 일으킨다.
5.전극: 만약 범인이 전선을 잡지 않는다면 무선 전기침의 몸통 부분에 달려 있는 6개의 긴 전극이 피부 속으로 파고든다. 충격 흡수 플라스틱 쉘이 벗겨지고 길이 12.7mm의 기다란 전극이 가시처럼 튀어나와 범인의 피부 속으로 파고드는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