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주인공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정초록, 임동수 박사팀으로, 연구팀은 세포 속에 에니그마가 많을 때 암 유발 효소인 ‘Mdm2’가 활성화되는 반면 암 발생 억제 유전자 ‘p53’의 기능은 떨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아울러 연구팀은 에니그마가 다량 발현되는 암 세포의 경우 항암제인 아드리아마이신(ADR)을 투여해도 지속적으로 증식하는 반면 에니그마 발현을 차단하면 암 세포 증식이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사실도 쥐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에니그마의 작용으로 p53의 세포 사멸 기능이 약화되면서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내성이 강해진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에니그마를 제어함으로써 간암, 위암, 대장암 등의 치료효과를 높이는 등의 치료법 개발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본혁 기자 nbgkoo@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